원문정보
Costume Development Applied Korean Traditional Wall Elements - Focused on Sewing Techniques of Manipulating Fabric -
초록
영어
The Korean traditional wall has shown its various designs with the composition of materials of the wall and the decorative patterns. Stones, wall tiles and decorative patterns had obvious texture and three dimensional effect among the materials consist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wall. The sewing techniques of manipulating fabric were utilized to express stone, wall tile and decorative pattern in costumes. Fabrics were crumpled and ironed irregularly for the rough texture of the stones. The stones of the natural state were expressed by gathering and shirring and the processed into square stones were expressed by tucking. For flowing curves of wall tiles used in the head part of a wall, ruffles adding the dimensionality of multiple folds and fluttering edges to the surface were utilized and the repeated patterns of wall tiles being piled up one on another in the body part of a wall were expressed by pleating. Decorative patterns were freely expressed by the codes or stitches with cording and quilting for add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Four costume works imagining the Korean traditional wall were made with the utilization of sewing techniques of manipulating fabric with the selection of walls of Soswaewon Garden, the principal palace of Jongmyo Shrine, Ssanggyesa Temple, Jagyeongjeon Chamber in Gyeongbokgung Palace.
한국어
본 연구는 전통 건축 요소인 전통담을 의상에 접목하기 위하여 전통담의 구성 요소 의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상에서 응용할 수 있는 주요 요소를 장식봉제기법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의상 작품을 제작하였다 . 전통담은 담의 재료가 되는 요소들의 구성 기법과 무늬로 꾸미는 기법에 의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전통담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질감과 입체감이 뚜렷 한 요소들은 돌, 기와와 장식무늬 등이었으며 이들 요소를 의상에 접목하여 표현하기 위하여 직물의 표 면 형태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장식봉제기법을 활용 하였다. 돌의 거친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직물을 불 규칙하게 구기고 다려서 사용하였고 자연 상태의 돌 은 개더링과 셔링으로 표현하였으며 인위적인 가공 을 한 사각 형태의 돌은 턱킹으로 표현하였다. 머리 부 기와가 가진 곡선의 율동감은 부드러운 곡선과 풍성한 입체감을 표현하는 러플을 활용하였으며 몸 통부 기와의 중첩에 의한 반복 패턴은 플리팅으로 표현하였다. 장식무늬는 코드나 스티치로 무늬를 자 유롭게 표현하며 직물 표면에 입체감을 생기게 하는 기법인 코딩과 퀼팅으로 표현하였다. 전통담의 구성 요소인 돌, 기와와 장식무늬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소쇄원의 담, 종묘 정전의 담, 쌍계사의 담과 경복궁 자경전의 담 등을 선택하여 장식봉제기법을 활용하여 전통담의 구성 요소를 활용 한 의상 작품 4점을 제작하였다. 의상 작품에 활용한 표현 기법들은 장 식봉제기법에 한한 것으로 전통담이 갖고 있는 다양 한 특성을 의상으로 접목시켜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표현 방법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야 하겠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전통담에 관한 일반적 고찰
2.1. 전통담의 의미
2.2. 전통담의 디자인
2.3. 전통담의 구성 요소
3. 장식봉제기법을 활용한 전통담 구성 요소의표현
3.1. 돌의 표현
3.2. 기와의 표현
3.3. 장식무늬의 표현
4. 작품 제작 및 해설
4.1. 작품제작 의도 및 방법
4.2. 작품 및 해설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