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자와 양명의 도덕교육론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Zhu-xi's and Yang-ming's Moral Education

안영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study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 of Zhu-xi's and Yang-ming's Moral Education. In order to prove my claim above, first I compared Yang-ming's the features of enlightenment on moral principle and his carrying out it with Zhu-xi's. and second I disclosed the features of moral education of both. Yang-ming's perception of moral principle is called consciousness of Liang-zhi(良知). It is the method of internal reflection and intuition. And the practice of it is instant and unaffected. On the contrary, Zhu-xi's perception of moral principle is called Ju-jing-qiong-li(居敬窮理). It is the method of conducting internal and external investigation. But it puts emphasis on external investigation of things. So the practice of it proceeds intentionally step by step. In Yang-ming's theory of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consciousness of Liang-zhi and it's practice. So he asserts the education of emphasizing student's spontaneity and activity, making student realize his Liang-zhi. On the contrary, Zhu-xi's theory of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learning systematic and unified knowledges and it's practice. So he asserts the education of emphasizing teacher's discipline, making student study the Confucian books and manners. These both thoughts look lik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in theoretical respect. But they can be appreciated as complementary thoughts in practical respect.

한국어

이 논문의 목적은 주자와 양명의 도덕교육론의 특징을 해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이들 양자의 도덕법칙의 인식 및 실천방법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에 근거하여 그들의 도덕교육론의 특징을 해명하였다. 그 이유는 특정 사상가의 교육론의 성격은 그가 행한 실제의 학문의 성격에 의해 규정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먼저 도덕법칙에 대한 양명의 인식은 ‘양지의 체득’이라는 ‘심을 통한 인식’ 즉 향내적 인식방법이고, 그에 따라 얻어지는 앎은 ‘본체의 직접적 직관적 앎’(깨달음)이다. 따라서 그에 수반되는 실천 또한 즉각적 자연발현적 실천의 성격을 지닌다. 반면에 도덕법칙에 대한 주자의 인식은 거경궁리라는 내외병진의 인식방식인데, 이에 의해 획득되는 앎은 추론적 인식방식에 의한 ‘추상적 원리로서의 본체 인식’이다. 따라서 이에 수반되는 실천은 단계적인 의식적 실천의 성격을 띠게 된다. 이들 양자는 이러한 상이한 인식과 실천의 체계를 지님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도덕교육론의 특징을 지닌다. 먼저 양명의 교육론에서는 본체(양지)의 실제적인 체증과 실천 여부가 교육 성패의 최대 관건이 된다. 때문에 그의 교육론은 피교육자가 지닌 양지의 발현을 복돋우고 그 자각을 유도하는 ‘자발성과 능동성을 신장하는 교육’의 특성을 보이고, 미리 정해진 규범과 체계보다는 자율성을 중시하는 유연한 교육 특성을 지닌다. 반면에 주자의 교육론에서는 경전에 기초한 지식의 체계적인 일관성의 획득과 이에 입각한 실천의 합리성 여부가 교육 성패의 최대 관건이 된다. 때문에 그의 교육론은 피교육자로 하여금 유가경전과 예의·법도 등의 권위에 대한 절대적인 존경과 그것의 체계적인 이해와 수용을 요구하며, 그런 면에서 교육자의 선제적인 훈육과 지식 전수가 중시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정형화된 체계적인 교육내용이 중시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양자의 사상은 세계를 구성하는 두 존재계기들 중 각각 한 측면을 근거로 하여 성립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관계는 상반성의 관계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역사적 흐름 속의 실천적인 과정을 바라본다면 양자의 관계는 각각의 한계성을 다른 측면에서 보완해주는 상호보완적 관계로 이해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주자와 양명의 도덕적 인식과 실천
  1) 주자의 도덕적 인식과 실천
  2) 양명의 도덕적 인식과 실천
 3. 주자와 양명의 도덕교육론의 특징
  1) 주자의 도덕교육론의 특징
  2) 양명의 도덕교육론의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영석 Ahn, Young-Seok. 안동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