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비스경제 시대의 서비스학습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러닝 활동의 서비스학습경험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 in SERVICE-LEARNING Activity for the Vitalization of Service Learning in the Era of Service Economy

이혜진, 정기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Service-Learning which is a service learning method in accord with service economy by determining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and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based on the method of dealing with service objects(customer). The Study began with literature reviews on the service, Service-Learning and activity theory as an analytical framework and followed by discovering Service-Learning experience through Q methodology and identifying distribution of representative sample and characteristics of customer meeting through survey. The three learning experience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learning of service activity’ in which learners study about themselves and customer by learning overall service activity; ‘learning of service skill’ in which the only technical elements related service provider is studied and ‘learning of social experience’ in which preliminary social experiences but not service learning experiences are studie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ose experiences in learning ‘customer’, a key of service. It was shown that the factors making those differences were whether the type of and the amount of time of customer meeting allowed stable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customers. In conclusion, the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Service-Learning and the vocational educational aspect of Service-Learning, especially of business education, that suitable for service economy era, based on those results, we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서비스-러닝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서비스학습경험을 밝히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대상(고객) 대면방법 특성을 분석하여 서비스-러닝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서비스경제에 부합되는 서비스 학습방법으로서의 서비스-러닝 연구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는 서비스와 서비스-러닝, 분석틀인 활동이론에 대한 문헌 연구, Q 방법론을 활용한 서비스-러닝 학습경험의 발견, 서베이를 통한 학습경험 유형의 대표본 분포와 고객대면 특성 확인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서비스 활동 전반의 학습을 통해 자신과 고객에 대해 학습할 수 있었던 ‘서비스활동 학습’, 서비스제공자로서 기술적 요소만을 학습하였던 ‘서비스기술 학습’, 서비스제공과 관련된 학습이 아닌 예비사회경험을 학습한 ‘사회경험 학습’의 세 가지 서비스학습경험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들 간에는 서비스의 핵심인 ‘고객’ 학습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그러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객과의 안정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대면 방식과 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서비스-러닝 설계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과 서비스경제시대에 부합하는 서비스-러닝의 직업교육적 측면, 특히 상업교육에서의 직업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3. 연구 내용 및 방법
 Ⅱ. 서비스와 서비스-러닝
  1. 서비스
  2. 서비스-러닝
 Ⅲ. 활동이론에 의한 서비스-러닝 분석
  1. 활동이론
  2. 활동이론으로 바라본 서비스-러닝
 Ⅳ. 조사 대상 및 방법
  1. 조사 대상
  2. 조사 방법
 Ⅴ. 조사결과 및 논의
  1. 조사결과
  2.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혜진 Lee, Hye Jin. 한국교원대학교 강사
  • 정기오 Jeong, Ki Oh.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