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ducational Ministry of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Korea, 1884-1940 : Missiological Implications for Korea’s Educational Mission
초록
영어
The primary goal of this article is to first explore the nature of the educational ministry of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Korea from 1884 to 1940. Based upon the historical lessons given by the educational ministry of the American missionaries, the author gives the missiological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The author will give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the educational mission in Korea beginning with Horace N. Allen, the first missionary to Korea, who arrived in 1884 until 1940 when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were deported by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The paper will briefly explore the history of mission schools in Korea,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modern education in Korea. Then, the author considers several key issues of operating mission schools and chronologically examines the educational mission policies adopted by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in Korea. The issues confronted by mission schools under various restriction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provide lessons and tasks for the Korean Church’s educational mission today. Furthermore, the writer considers some helpful observations expounded by the commission on mission work at the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in 1910. By utilizing these proposals, the writer hopes that the educational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will lead to a more effective and desirable direction. The missiological implications given by today’s educational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are as follows: 1) The advantages of educational ministry need to be utilized in ‘creative access area.’ 2) Mission schools must decide where to focus their target. 3) Mission schools must check the regulations on Bible classes when they obtain accreditation from the government. 4) Mission schools must set up a long term plan for promoting self support. 5)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may be better to found mission schools before churches. 6) Secondary schools may be established after primary schools. 7) Mission schools must decide the ratio of children of non-believers to children to believers to maintain a mission focus. 8) Overcome denominationalism through cooperative educational mission work. 9) Primary education should be done in the local language and Bible classes should be taught in the vernacular. 10) Schools need to choose an appropriate model between a direct evangelism approach and a liberal arts education approach.
한국어
본 논문은 선교사들의 입국과 동시에 한국에서 시작된 미션스쿨을 통해 전개된 교육선교의 역사를 분석하고 평가한 후,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한국교회가 추진하고 있는 교육선교 상황에 대해 주는 선교적 교훈과 의미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최초의 선교사 알렌이 내한하는 1884년부터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로 인해 선교사들이 추방당하는 1940년까지의 교육선교역사를 개관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근대식 교육 도입과 확산에 큰 공헌을 한 미션스쿨의 역사를 간단하게 살핀 후, 미션스쿨 운영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들과마국 북장로교 선교부가 한국에서 채택한 교육선교 정책을 통시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일제하의 미션스쿨이 직면했던 문제들이 오늘 한국교회의 교육선교 현장에 주는 교훈과 과제를 제안한다. 이울러 1910년 에딘버러(Edinburgh) 세계선교사대회의 제3분과(“교육”)가 분석한 인도, 중국, 일본에서의 교육선교 평가를 통해 교육선교 현장에 주는 시사점도 살펴본다. 이러한 제안을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교육선교가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나가기를 소망한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선교적 교훈을 바탕으로 오늘의 한국교회 교육선교에 주는 교훈은 다음과 같다. 1) ‘창의적 접근 지역’에서 교육선교의 장점을 활용해야 한다. 2) 미션스쿨 설립시 선교의 목표와 대상을 어느 계층에 둘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3) 미션스쿨이 정규학교 인가를 받는 경우 성경교육에 어떤 제약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4) 미션스쿨의 재정자립도를점진적으로 높여나가는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5) 상황에 따라 교회를 먼저 세우기보다 방과후학교나 유치원을 운영할 수 있다. 6) 현장의 필요에따라 초등교육부터 중등·고등 교육기관까지 연계 교육시스템을 구축할수 있다. 7) 미션스쿨의 설립목적을 유지하기 위해 불신가정의 학생비율을정해야 한다. 8) 교파주의를 뛰어넘어 연합과 협력의 정신으로 교육선교사업을 추진하라. 9) 초등교육에서는 영어를 사용하지 말고 초등교육과 상급 교육기관의 성경교육은 현지어를 사용하라. 10) 직접적인 복음전도(평양 숭실대학)와 일반 교양교육(서울 연희전문학교)의 두 고등교육기관 중에서적절한 모델을 선택하라.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한국 교육선교의 시작
IV.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의 교육선교 정책
V. 오늘의 교육선교 현장에 주는 교훈
VI.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