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교회의 문화사역을 통한 복음전도

원문정보

Evangelism through the Cultural Ministry of Local Churches

박보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are living in the society, where Christian faith has lost its favor and respect in the society and the ordinary non-believers became indifferent and even antagonistic toward the Christian faith. In this anti-Christian environment, the traditional evangelism method has shown its clear limitation to communicate the gospel. We must indeed find better ways in presenting the gospel to non-believers. The current study has attempt to suggest the new evangelism method, so called 'cultural evangelism', that is, evangelistic work through the cultural ministry. Taking an indirect and long-term approaches, cultural evangelism has suggested an alternative approaches. In the first part, the paper examines the current problem of imbalanced approaches on evangelism that the verbal dimension of evangelism has been over-emphasized while the non-verbal dimension of proclamation has been overall neglected. The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ife-style aspect of witnessing ministry of the church to provide holistic view of evangelism. Then, the paper attempts to define the meaning of Munwha Jeondo(cultural evangelism), distinguishing from Munwha Sunkyo(cultural mission). While cultural mission aims at the transformation of the culture itself, cultural evangelism focuses only on evangelism and the conversion of individuals by using the cultural ministry. Then, as the third part, the paper provides three case-studies; they are 1) Cultural Classes of Sea-Kwang Church, 2) Rachael's Tea Room of the Beauty and Cross Church, and 3) the Film-Sermon of seeker service in the Dream Church Finally, the paper has attempt to analyze these three cases from the missiological perspective, and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vangelism. First, it seems that the churches exercises cultural ministry tend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issional ecclesiology. This shows that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these churches seems to be strongly grounded in the missional ecclesiology. Second, the cultural evangelism approach tends to be very eager to find the felt need of non-believers, and tries to fill it. They all seem to be open toward strangers and their eager to communicate with non-believers. Third, cultural evangelism takes more indirect and long-term approaches in its evangelist work, naming 'the indirect-narration of the gospel'. Therefore, their attitude often seen as humble, courteous and allows to be rejected. Fourth, cultural evangelism provides a space for the fellowship and friendship between believers and non-believers. And, this new space allows non-believers to watch believers' life of integrity and sincerity. Therefore, in cultural evangelism, true friendship and kindness, and integrity of believers became the most crucial elements of conversion. Finally, in their faith journey of non-believers, cultural evangelism often plays a role of opening up of their heart to the faith, yet, it must be accompanied with the fellowship and nurturing process of community of the believers.

한국어

본 소고에서는 문화사역을 통한 전도를 제시한다. 문화사역을 통한 전도는 그 방식에 있어서 간접적이며 장기적인 접근이지만, 오늘날의 한국사회에 복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거할 수 있는 전도의 대안적 접근이다. 사실 그동안의 전도가 선포하는 언어적 차원만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는데, 이제는 전도의 비언어적 차원 즉 행동적 차원이 균형있게 강조되어야 한다. 비언어적 전도로서의 문화전도란 문화사역을 통한 복음증거 사역을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3가지 문화전도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첫째로 세광교회의문화강좌를 통한 전도, 둘째는 미와십자가교회에서 운영하는 ‘레이첼의 티룸’사역, 셋째로 꿈이있는교회의 영화예배를 통한 전도이다. 세광교회는60여개의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채우면서 자연스럽게 전도가 일어난 경우이다. 미와십자가교회는 대학로를 중심으로예술과 문화를 매개체로 불신자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목적으로 시작된 개척교회인데, 이 교회가 운영하는 ‘레이첼의 티룸’사역은 문화전도의 사례가된다. 꿈이있는교회는 청년들의 문화와 소통하기 위해 영화예배를 시도하여 청년구도자들을 교회로 인도하였다. 본 소고는 각각의 사례를 통하여 문화전도의 특징을 요약하였는데 첫째, 문화전도를 강조하는 교회들은 대체적으로 선교적 교회론이 강조된다. 둘째, 문화전도는 대상으로 삼는 불신자들의 체감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그것을 접촉점으로 삼는다. 셋째, 문화전도는 간접적이고 장기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즉 복음의 간접화법을 사용한다. 넷째, 문화전도는 불신자와 신자들 간의 친밀감을 경험할 수 있는 사귐의 공간을 제공하여 그곳에서 전도가 일어난다. 다섯째, 문화전도는 전도자의 거룩한 삶의 양식과 친절함과 선행 베풂이 전제되지 않고는 일어나지 않는다. 문화전도는 진정으로 ‘당신이야말로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유일한 성경이다’라는 말이 성립되는 접근이다. 여섯째, 문화전도는 그 자체만으로는 불신자들의 회심을바로 이끌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회심으로 결실하기 위해서는 신앙공동체안으로의 초청과 이어지는 양육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목차

논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복음전도의 통전적 이해
 Ⅲ. 문화전도에 대한 근거
 Ⅳ. 문화사역을 통한 전도의 실제
 Ⅴ. 3가지 사례에 대한 선교학적 분석: 문화전도의 특징들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보경 Bo Kyoung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선교신학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