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for Extreme Rainfall Event in Historical Documents
초록
영어
Currently, a typical example of abnormal weather in the global increasing trend can be said to be convenient and flood through the overflow of domestic demand inundation or embankment by the torrential rainfall. In order to strengthen this facility standards, but we need the expansion of rainfall data period, South Korea still has rainfall records continuously from Yeongjo to Soonjo for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Therefore, i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present study, using these historical materials were calculated probability rainfall.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using the Huff quartile and Random Cascade model Ch'ugu-gi daily rainfall, was constructed a cross-sectional input data for the Cheonggyecheon flow section in the old literature. Furthermore, the actual rill Cheonggyecheon tributary sections to confirm the damaging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river, and estimates the cross-sectional input data by considering the various documentary, which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It was to evaluate the spatial scale of damage.
한국어
현재 전 지구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이상기후 현상의 대표적인 예는 집중호우로 인한 도심 내 내수침수 또는 제방의 월류를 통한 홍수라 할 수 있다. 이에 시설기준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강우 자료기간의 확충이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조선왕조실록에 영조부터 순조까지 측우기의 강우기록이 남아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이들 역사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측우기 일강우량을 Huff 4분위와 Random Cascade 모형을 이용해 강우의 시간분포를 결정하였고, 청계천 개수계획평면종단도(1936년, 경성부), 준천사실(1760년), 동국여지비고(1870년), 조선지형도집성(1921년), 경성지적도(1912년), 청계천 유물 발굴조사보고서(2006년) 등의 고문헌을 통하여 청계천 본류 구간에 대하여 단면 입력자료를 구성하였다. 또한 실제 청계천의 주변부 피해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청계천의 지류구간에 대해서도 금천교 발굴조사보고서(2003년), 영천교 발굴조사보고서(2003년) 등의 자료와 함께 근대까지의 기록물들을 활용하여 단면 입력자료를 추정하고 이를 수치고도모형(DEM)으로 공간적 피해규모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 배경
Ⅱ. 측우기 자료를 이용한 자료기간 확충에 따른 확률강우량 산정
Ⅲ. 극치호우사상을 이용한 홍수량 산정
1. 과거 청계천 유역경계 및 하천 추출
2. 과거 청계천 토지이용자료 구축
3. HEC-HMS를 이용한 과거 청계천 유역 극한홍수량 산정
Ⅳ. 극치호우사상에 대한 홍수범람 해석
1. HEC-RAS를 이용한 홍수위 분석
2. DEM을 이용한 청계천 유역의 홍수범람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