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세기 한국한자음 山攝에 관한 고찰 - 《華東正音通釋韻考》를 中心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huadongzhengyintongshiyunkao》’s shan(山)Classes

중세기 한국한자음 산섭에 관한 고찰 - 《화동정음통석운고》를 중심으로 -

강미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고에서는《華東正音通釋韻考》 중 山攝 연구를 통하여 중세기 한국한자음 多音表記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華東正音通釋韻考》은 正祖11(辛丑1787년) 《訓民正音》으로 매 글자마다 ‘東音’(한국한자 독서음)과 ‘華音’(중국한자음)을 그리고 ‘俗音’을 수록하여 多重 表記의 한국한자음을 기록한 운서로는 現存 最古의 韻書이다. 현재까지 한국한자음 연구는 우수한 학자들의 노고에 힘입어 대 내외적으로 수많은 옥고가 발표되어 왔으나 연구대상의 편중과 일자일음주의의 체계연구에 치중하고 있는 오점을 남기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한자음의 多音字에 연구에 대한 미흡함을 보완하여 한국한자음 연구의 전반적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우선《華東正音通釋韻考》의 ‘東音, 華音, 俗音, 《四聲通解》의 正俗音, 《廣韻》,현대한국한자음’과의 音價를 대비하여 本 연구의 基礎 資料를 표로 작성하였다. 이러한 기초위에 《華東正音通釋韻考》 山攝의 체계와 그 특성을 밝히고 同一 韻에 속하는 ‘東音과華音 韻母’의 多重 表記의 차이점에 대한 분명한 근거를 제시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한국한자음 다중표기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 밖에 ‘華音’과 《四聲通解》의 ‘正音,俗音’ 의 차이 그리고 ‘東音’과 ‘現代韓國漢字音’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중국어

本文通过《華東正韻通釋韻考》山攝的考察,詳細地說明了《華東正音通釋韻考》東音和華音的多重表記的原因而辨別力。通過硏究,本論文得出結論如下: Ⅰ)山攝 1)寒旱翰韻 華音: 開口 一等字表記为[-an]而重脣音 合口 一等字表記为[-ən], 喉牙音 合口 一等字表記为[-jujən],以外 其他 合口 表記为[-uən]. 東音: 開口 一等字 表記为[-an] 而 喉牙音 合口 一等字 表記为[-oan] 以外 其他 合口字表記为[-an]. 2)刪潸諫韻 華音: 喉牙音 開口 二等字 表示爲 [-jən] 以外 其他 開口 二等字 表示爲[-a n]。 所有合口字都表示爲 [-oan]。 東音: 開口字 表記为[-an]而 合口字 表示爲[-oan]。 3)先仙霰韻 華音: 開口 三四等字 表示爲[-jən]。 合口 三四等字 表示爲[-jujən]。 東音: 開口 三等字 表示爲[-ən]而 合口 三等字 表示爲[-uən]。 開合 四等字 表示爲[-jən]。 Ⅱ)《四聲通解》跟華音区别如下。. 聲母: 影母 濁音淸化现象 ‘ㆆ’ 表示爲 ‘ㅇ '。 韻母: ① 喉牙音 開口 一等字表示爲 [-ən] → [-an] 或 [-an] → [-ən] 。. ② 重脣 合口 一等字 发现單聲母化 如 [-uən] ⟶ [-an][-ən]。

목차

1. 머리말
 2. 본문
  2.1. 山攝
   2.1.1. 寒韻
   2.1.2. 旱韻
   2.1.3. 翰韻
   2.1.4. 刪韻
   2.1.5. 潸韻
   2.1.6. 諫韻
   2.1.7. 先韻
   2.1.8. 銑韻
 3. 결론
 參考文獻
 中文摘要

저자정보

  • 강미훈 kangmihoon. 영동대학 외래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