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모바일 광고소구 유형과 시간적 거리감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제품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teractive Role of Mobile Advertising Appeal Type and Temporal Distance : Consumer Response for Product Types

김윤희, 한상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rrival of a mobile environment is likely to create an instant approach to information and services. Direct purchase response can effectively link the point of communication with the point of purchase by locating consumers. Therefore, a new method is needed for mobile advertising and marketing techniques. To maximize mobile ad effectiveness, advertisers must diversify mobile ad message contents to match the different situations of individual consumers by providing customized ad products. This study classifies product types into utilitarian products, social identity products and multiple products, we attempts to find out the difference the interactive role of temporal distance and mobile advertising appeal types toward consumer response. This study proceeded in 2 steps, a pilot survey and an experimental stage. During the pilot survey, we chose a UP (toothpaste), an SIP (couple ring), and an MP (sneakers) and made an advertisement for each one by product type before conducting a manipulation check. We created a scenario to delineate temporal distance and verified that distant-future and near-future points were clearly perceived. After the manipulation check, we conducted our experiment with 357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use a smart-phone. Advertising appeals type and temporal distance appeared differently by product types through mobile ads. We used MANOVA to verify our hypotheses. As expected, regardless of distant future and near future preferred informational mobile ad for advertising utilitarian products and social image arguments for advertising social identity products. However, for multiple products distant future preferred image mobile ad, whereas near future preferred informational mobile ad. Therefore, research on customers’response to mobile advertising will be helpful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advertising.

한국어

본 연구는 제품 유형에 따라 해석수준이론의 4가지 차원 중 시간적 거리감(가까운 거리 시점: 일주일, 먼 거리 시점: 6개월)과 모바일 광고소구 유형(정보 제공형 광고와 이미지형 광고)의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반응(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 클릭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이용자 남·여 20∼30대 35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리적 제품은 시간적 거리감에 관계없이 정보 제공형 모바일 광고가 이미지형 모바일 광고보다 광고태도, 제품태도, 클릭의도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사회이미지적 제품은 시간적 거리감에 관계없이 이미지형 모바일 광고가 정보 제공형 모바일 광고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복합 제품에 대한 모바일 광고의 경우, 구매시점이 가까울 경우에는 정보 제공형 광고가 이미지형 광고보다 더 효과적인 반면에 구매시점이 먼 미래일 경우에는 이미지형 광고가 정보 제공형 광고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모바일 광고효과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이론적 배경
  해석수준이론-시간적 거리감
  시간적 거리감과 광고소구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
  제품 유형, 시간적 거리감, 광고소구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방법
  실험설계와 연구대상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실험 광고물 제작
  실험 절차
  분석방법
 연구결과
  신뢰도 검증
  가설 검증
 결론
 연구의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희 Yoon-hee Kim.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겸임교수
  • 한상필 Sang-Pil Han.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