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융합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onvergence Leisure Sports Activities

한상준, 이상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onvergence leisure sports activities. Selected to attain the purpose were 300 college students that took a course on leisure sports at universities in Gyeonggi-do, Chungcheong-do, and Jeolla-do Provinces. After excluding 59 questionnaires that seemed to contain insincere answers from total 300 questionnaires, 241 were used in analysis as final valid samples. They were analyzed in frequency, reliabi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PASW Ver. 18.0 program and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ith the AMOS 18.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upport from family and support from others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ego, one of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negative ones on negative ego. Secondly, positive ego, one of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mpacts on academic adjust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two of the subfa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whereas negative ego had negative impacts on academic adjust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융합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적 응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여가스포츠 관련 교과를 수강한 수강생 300명이다. 이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간주되는 59부를 제외하여 총 241 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 인인 가족의 지지와 타인의 지지 모두 자아 존중감의 긍정적 자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 적 자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 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2.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조사도구
  2.3 자료처리 방법
 3. 결과 및 논의
  3.1 측정모델 평가
  3.2 구조모델 평가
  3.2 논의
 4. 결론
  4.1 요약
  4.2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한상준 Sang-Jun, Han. 전주대학교 문화산업 예술체육대학
  • 이상행 Sang-Heang, Lee. 전주대학교 문화산업 예술체육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