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가상현실을 통한 문화재복원 융합 확장성 연구

원문정보

A Research on Expandability of Cultural Assets Restoration Blend using Virtual Reality

오승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currently used classifying functional types such as the observation operation type, the experimental activity type, the learning information type, the field problem-solving type, and other different types, based on the media's characteristics implementing 3D form of multi-sensory information. Using Virtual Reality, the restoration of the ‘Doksu Palace’ has been grafted onto J. Keller’s ARCS model, suggesting a field restoration concept that reenacts the lives of the people that had been in the field with the cultural heritage and history based on a scenario based scene direction. This paper also summarizes 3 different types of implementation of the field restoration assorting multi-scene direction. Certain limitations exist, due to the fact that a completed prototype hasn’t been suggested and that a detailed notion of the housing and 3D audio connection has been omitted.

한국어

현재의 가상현실 기술은 매체적 특성인 3차원 방식의 다감각적 정보의 구현을 바탕으로 관찰 조작형, 실험 활동형, 학습 안내형, 현장문제 해결형 등의 기능성 유형 분류로 활용되고 있다. 가상현실을 통하여 덕수궁의 문화재 복원을 J. Keller의 ARCS 모델 이론과 접목시키고 문화유산과 함께 역사의 현장에 살아갔던 사람들의 삶을 시나리 오기반 씬 연출을 통해 재현하는 현장성 복원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장성 복원 씬을 3가지 타입으로 요약하 고 다중 씬 연출을 구분하여 정리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실제 프로토타입까지 완성하여 제시하지 못한 부 분과 하우징의 디테일한 부분이나 3D 오디오와의 연계 등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못한 부분이 존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시대의 기술과 지식으로 성취하고자 하는 가상현실 문화재 복원의 융합 확장성 연구는 역사적, 문화적,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1.2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2.1 가상현실기술의 진화
  2.2 가상현실기술의 분야와 장애요소
  2.3 ARCS 모델 및 선행연구특성
 3. 문화재복원 확장연구
  3.1 문화재복원과 현장성복원의 개념
  3.2 스토리기반의 현장성복원
  3.3 현장성복원 씬(Scene)의 구현
 4.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오승환 Seung-Hwan Oh.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엔터테인먼트디자인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