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적수담(積水潭) (십찰해(什刹海))의 위상변화와 수도 북경(北京)의 상징성 - 원(元)의 대도(大都)에서 명(明)의 북경(北京)으로 -

원문정보

The Role Change of Jishuitan/Shishahai and its Representation of the Capital City : From Yuan Dadu to Ming Beijing

조영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 part of research series examining the historical representation of the capital city of Beijing, this paper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main role and function of the Jishuitan(積 水潭) or Shishahai(什刹海), the lake currently located northwest of Beijing, from the Yuan to the Ming, and examined the resulting shift in its representation of the capital city. Through this research, I was able to verify that, despite Jishuitan’s continuous existence and location in both the Yuan and Ming, its main representation changed as the dynasty shifted from Yuan to Ming. First, the layout of the city wall changed with the dynastic change; Beijing’s city wall moved slightly southward, especially as the Tonghuihe(通惠河) no longer flowed into the city due to reconstruction of the city wall since the Yongle reign. Consequently, Jishuitan, located at the center of Dadu in the Yuan, moved and was located northwest of Beijing since the Ming. It also let to the Jishuitan being disconnected from the Tonghuihe, with tributary ships from the Grand Canal no longer able to enter the city. However, during the Ming, Shishahai(its name having changed during the Ming) became a famous sightseeing place for Xishan(西山), which was located west of city wall of the Bejing. In sum, the Jishuitan’s main representation of the capital city changed from a center of national transportation for goods to a famous sightseeing place for leisure. During the Yuan, the Jishuitan was the center of the capital city Dadu and represented the zenith of national waterway transportation or the center of the distribution of goods for the unified kingdom. A four-character Chinese idiom, “zhulubishui (舳艫蔽水)”, appropriately describes the Jishuitan’s status in the Yuan, since it refers to several ships covering the lake, with the implication that profit mattered more than security in the Yuan Dadu. Thus, the Shishahai came to serve as a famous sightseeing place for the mountain during Ming Beijing. A Chinese idiom, “yindingguanshan(銀錠觀山)”, illustrates the Shishahai’s altered status, indication that Xishan sightseeing from the Yinding Bridge(銀錠橋) vantage point on the Shishahai was very famous. Ironically, the Shishahai’s main function was related to the mountain and disconnected from water. This role change implied that, in the same capital city, profit concerns had been superceded by security concerns, primarily as a result of the dynasty change from Yuan to Ming, and the concurrent change in the ruling ethnicity from Mongols to Hans.

한국어

이 논문은 중국의 수도 북경의 역사적 의미를 검토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 가운데 하나로, 積水 潭 호수라는 도시 공간에 주목했다. 특별히 북경의 서북쪽에 위치한 積水潭(혹은 什刹海)의 기 능 및 위상이 원조와 명조 사이에 어떻게 변화하는지와, 이러한 변화가 수도의 상징성을 어떻 게 변화시켰는지를 함께 검토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적수담이라는 호수는 원 대도와 명 북경에 동일하게 존재했으나, 적수담의 중심적 表象(representation)은 왕조 교체와 함께 크게 변화되었음을 확인했다. 우선 왕조 교체 와 함께 도성의 구조가 변화했다. 즉 북경 성곽이 남쪽으로 약간 이동했고, 都城 안으로 진입이 가능했던 通惠河가 성곽 재건으로 인해 막혔다. 그 결과 大都에서 중심부에 위치했던 積水潭은 명 북경에서 서북쪽으로 위치가 변경되었고, 通惠河와 단절되어 漕運船의 북경성 진입도 불가 능해졌다. 대신 명 북경의 積水潭은 성곽의 서쪽에 위치한 西山을 觀賞하는 遊覽地로 유명해졌 다. 首都로 物資를 집중시키는 중심지로부터 觀賞의 명소이자 風流를 즐기는 湖水로 積水潭(什 刹海)의 中心 表象(representation)이 변화된 것이다. 원 대도의 적수담은 수도의 중심으로, 水運을 통한 物流의 극대화 혹은 통일국가의 物流中心을 상징했다. 船舶이 湖水를 덮었다는 뜻의 “舳艫蔽水”는 이를 잘 표현하고 있다. 필자는 이것이, 수도의 安保(security)라는 이슈보다 利潤(profit)이라는 이슈가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상징한 것으로 해석한다. 반면 明 北京의 什刹海는 멀리 山을 觀望하는 명소를 상징했다. 銀錠橋에서 西山을 바라본다는 “銀錠觀山”은 이를 잘 표현한다. 필자는 이에 대해, 首都의 安保 이슈가 利 潤 이슈를 압도해버린 결과로 해석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元 大都 건립과 積水潭
 Ⅲ. 明 北京 재건과 什刹海
 Ⅳ. “舳艫蔽水”에서 “銀錠觀山”으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정보

  • 조영헌 Cho, Young-hun.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