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박물지의 바둑기원설에 대한 소고

원문정보

A Study of Bowuzhi Related to Origin of Baduk

김달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was known that Bowuzhi of Zhanghua mentioned Origin of the Baduk, at the very first, as “Yao invented the Baduk”. This sentence was not included in the present Bowuzhi. This paper is to review whether the sentence of “Yao invented the Baduk” was included in the original Bowuzhi, whether Zhanghua cited if from precedent books, when and by whom this sentence was made. This paper concludes ; Firstly, “Yao invented the Baduk” was included in the original Bowuzhi. Secondly, Bowuzhi did not quote the precedent book, and Zhanghua described the origin of Baduk for the first time. Thirdly, The sentence of “Yao invented the Baduk” was formed in between the late West-Han and East-Han. Fourthly, This sentence came from the School of Ancient Classics, it was probably made by Liuxin, the father of the School of Ancient Classics.

한국어

장화의 『박물지(博物志)』는 “堯造圍棊丹朱善之”라고 하여 최초로 바둑의 기원(起源)을 언급 한 문헌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행본 『박물지』에는 “堯造圍棊丹朱善之”라는 문장이 없다. 원본 『박물지』에 “堯造圍棊丹朱善之”라는 문장이 수록되어 있었는지, 『박물지』가 전대의 문헌을 계승하였는지, “堯造圍棊丹朱善之”라는 문장이 언제 누구에 의해서 만들어졌는지를 검토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본 『박물지』에는 ‘堯造圍碁丹朱善之’라는 문장이 수록되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박물지』 전대(前代) 문헌을 계승한 것이 아니라, 장화가 최초로 『박물지』에 바둑 의 기원을 기술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堯造圍棊丹朱善之”의 기원설이 만들어진 시대는 전한말(前漢末)에서 후한(後漢)시대로 판단된다. 넷째, 바둑 기원설은 고문학파(古文學派)에 의해서 나왔으며, 고문학파의 시조(始祖)인 유흠 (劉歆)에 의해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박물지』 개요
  1. 『박물지』의 시대배경
  2. 『박물지』의 저자와 편자
  3. 『박물지』의 판본
  4. 『박물지』의 저술 동기
  5. 『박물지』의 형식과 내용
 III. 장화 『박물지』의 바둑기원설에 대한 문헌 검토
  1. 원본 『박물지』에 “堯造圍棊丹朱善之”의 수록 여부
  2. 『박물지』 “堯造圍棊丹朱善之”의 전대(前代) 문헌 계승 여부
 IV. 바둑 기원설의 성립 시기 및 작자
  1. 바둑 기원설의 성립배경 및 시기에 대한 선행연구
  2. 장화 이전의 바둑 문헌
  3. 고문학파와 바둑
 V. 결론 및 제한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달수 Kim, Dalsoo. 명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