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공공개발사업 주민참여 영향요인 분석 - 전북혁신도시건설 사업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Citizen Participation in Public Development Project Area

이현수, 김재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focusing on city construction project to participation by local residents in public development projects in the process of innovation, Jeonbuk, Korea revealed what is the affecting factors, and these public participation in the building blocks that any effect on behavior of precedent study on whether a framework based on verified. To this end, the method for innovative cities, Jeonbuk, Korea in this study of 197 participants, local residents residing in a structured questionnaire distributed the data collected, statistically,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is study a precedent study on the impact factors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local public development projects in common that they were being to extract the contents are institutionalized, interactivity, interaction organised level perception is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residents, public participation in action against it in any of these factors affec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verified.

한국어

본 연구는 지역공공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각 요인들이 주민참여 행동에 어느 정도 효과를 주는지를 전북혁신도시건설 사업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지역공공개발사업의 주민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제도화, 이해인식, 상호작용 요인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이들 요인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실행수준 지각이 실제 주민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혁신도시 대상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화 요인은 주민참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주민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화 하위요인으로는 합의가능성( β=.218), 참여의 용이성(β=.203)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해인식 요인은 주민참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주민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이해인식 하위요인으로는 쟁점의 명확성(β=.450), 사회적 수용성(β=.193)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 요인은 주민참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주민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 하위요인으로는 신뢰수준(β=.366), 협력수준( β=.186), 대표성(β =.10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역공공개발사업에서 주민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행정적, 제도적 방법과 함께, 실질적으로 주민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규범적, 선언적 범주를 넘어서서 실천적이고 질적인 차원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주민들이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 개방성과 신뢰의 토대 위에 주민의 이해와 요구를 파악하고, 주민간 협력의 연결망을 확장시킬 때 진정한 의미의 주민참여가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 지역공공개발사업
  2. 주민참여이론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2.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
  3.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4.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2. 상관관계분석
  3. 연구가설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현수 Lee, Hyun-Soo. 원광대학교
  • 김재관 Kim, Jae-Gwan. 원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