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Korea, education has traditionally been among the most important policy areas. Nowadays, education taking place at local level is increasingly important, in Korea in particular. On the other hand, personal well-being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within the social sciences, and more specifically within community studies. The determinants of community well-being have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academics and practitioners. From a policy point of view,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ervices at community level and determinants of well-being. In order to strengthen education services at community level,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services and the determinants of well-being should be examined. Under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aims to discover the most important well-being factor affecting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ervices at community level, an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well-being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ervices at community level. The analytical methods employed in this study ar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The hypothetical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was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X2=963.975, RMSEA=0.073, and TLI=0.933. The strongest variable affecting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ervices at community level is human capital, including health, welfare, and education facilities. And, a path from economic capital to infra capital, from infra capital to human capital, and from human capital to education service, has the strongest indirect effect, by the value of 2.761.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교육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티웰빙의 구성요소들의 인과관계 구조를 밝히고 이로부터 교육정책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을 주된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웰빙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에 따라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민들의 교육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이 무엇인지, 또 이들 요인들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의 교육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커뮤니티웰빙의 구성요소인 경제자본, 인프라자본, 자연자본, 인적자원, 문화자본, 사회자본을 Maslow의 욕구위계단계에 근거하여 설정한 구조적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χ²=963.975, df=116, ρ=.000, RMSEA=.076, TLI=.933, GFI=.901로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교육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커뮤니티웰빙(경제자본, 인프라자본, 자연자본, 인적자원, 문화자본, 사회자본)의 직․간접적 영향 관계에 대한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이상의 구조적 관계에서 교육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간접적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교육서비스 만족도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력이 큰 변수는 인적자본이었다. 일반적으로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변수로 교수자, 교수법, 교육환경, 교육과정, 교육내용 등 다양한 부분으로 논의되고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커뮤니티웰빙의 구성요소 중 인적자본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에서 확보하는 인적자원의 질이 주민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므로 교육정책 방향을 이에 우선적으로 집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논의와 연구문제
1. 이론적 논의
2. 연구문제
III. 조사설계
1. 연구대상
2. 변수의 선정 및 자료원
3. 분석 방법
4. 가설적 연구모형
IV.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2.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 연구모형 검증 결과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