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Quest for Alternatives to School Art Education through On/Off-School Collaboration : Focusing on “Art Space Project” of “A” Elementary School
초록
영어
This age pursues to more creatively and effectively solve problems through an integrative and comprehensive approach and is preparing to shift from the industrial age with infinite competition to “an age characterized with cooperative life style”(Rifkin, 2012, p. 371). These things considered, it can be seen that school art education faces the request for shifting to paradigm enabling aggressive communication with this age through building a flexible and more applicable frame.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having seen “A” Elementary School’s “art space project” as a proper case reflecting the relationship-oriented real world with its compound system with regard to school art education, started its quest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the project. The real situation of school art education was perceived through the project’s contents and formality and participating students’ response to it whil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indications underlying the project were drawn out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devise alternatives to school art education. The first suggestion is to enlarge school art education by preparing a supportive system of human resources that can always ask local artists for cooperation, the second one is to propagate ‘the together culture’ by pursuing horizontal relationship during art class. The last one is to aggressively apply integrative education methods to art education as a tool oriented toward convergence education. The society in this age get more diverse, faster changing and more complex. In this changing topography of the culture/art world being unfolded anew, school art education should balance itself in a try to harmonize with the outside world. When this is possible, not only art education but also the values and roles of it will be properly evaluated and recognized.
한국어
다원화 사회로의 심화 속에서 모든 것이 급변하고 갈수록 복잡해지는 지금 이 시대는,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으로 보다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문제해결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동시에 무한 경쟁의 산업시대에서 제레미 리프킨(Rifkin, 2012)이 예견한 상생과 공존의 협업시대로 이행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학교미술교육은 좀 더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프레임 구축을 통해 동시대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요청에 직면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A초등학교의 “아트 스페이스 프로젝트”가 융·복합 체제 및 관계성 지향의 세계로 나아가는 현실을 학교미술교육에 반영시킨 적절한 사례로 보았으며 프로젝트 전반에의 참여관찰로 본 탐구를 시작하였다. 프로젝트의 내용과 형식, 그리고 참여 학생들의 반응을 통해 학교미술교육의 현실을 각성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프로젝트에 내재된 교육적 함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여 학교미술교육의 대안 마련을 위한 세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그 첫 번째는 지역 예술전문가들과의 협력을 수시로 요청할 수 인적자원의 지원체제 마련으로 학교미술교육을 확장하는 방식이며, 두 번째는 미술수업 내에서의 수평적 관계 지향을 통해 “함께”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융합교육을 지향하는 도구로서 통합적 교육 방식을 미술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다. 학교미술교육은 현재 새롭게 펼쳐지고 있는 문화예술계의 지형변화 속에서 균형을 잡고 바깥 세계와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며, 이것이 가능할 때 미술교육, 나아가 예술교육의 가치와 그 역할이 온당하게 평가받고 인식될 것이다.
목차
서론
관계의 의미와 통합적 사고의 이해
관계(關係)의 의미
통합적 사고의 이해
“아트 스페이스 프로젝트” 프로세스
“아트 스페이스 프로젝트”의 개요
프로젝트 특별반 오리엔테이션
프로젝트 특별반 1차시 활동(관찰-문제점 찾기): 사물
프로젝트 특별반 2차시 활동(생각-아이디어): 공간
프로젝트 특별반 3차시 활동(생각-아이디어): 공간의 규칙
프로젝트 특별반 4차시 활동(실행-실천): 나 & 우리
프로젝트 특별반 5차시 활동(돌아보기-평가): 디자인 프로세스 이해
5학년 전체 대상 학급별 미술수업: “아티스트가 되어”
“아트 스페이스”의 탄생과 특별반 아이들의 마지막 소감
“아트 스페이스 프로젝트”의 시사점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