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and Task-Oriented Programs of Balance for the Elderly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on comparative assessments between virtual reality and task-oriented programs of balance for elderly. Method : 12 healthy elderly for each program are received twice a week for 6 week period. Changes in balance ability were assessed using Berg Balance Scale (BBS), Timed Up and Go(TUG), One-Legged Stance Test(OLST) and 5 - Repetition Sit-To-Stand test(5R-STS test). Result : All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program. However, comparative outcomes among thre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pening the eyes of One-Legged Stance Test(OLST)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and Berg Balance Scale(BBS). In post hoc,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programs with opening the eyes of One-Legged Stance Test(OLST) from left side. Conclusion : Task-oriented programs is more useful and effective clinical methodology for balance excise programs for elderly. In addition, this clinical trial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elder care facilities.
한국어
목적 :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이 노인의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 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12명의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을 각각 6 주 간 주 2회씩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 변화를 위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 이동 능력 검사(Timed Up and Go: TUG), 한 발 서기 검사(One-Legged Stance Test: OLST), 5회 반복 앉았다 일 어서기 검사(5-Repetition Sit-To-Stand Test: 5R-STS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결과 프로그램 전․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하지만 세 집단 간 비교 에서는 버그 균형 척도, 한 발 서기 검사 중 눈 뜨고 좌, 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며 사 후 검정결과 눈 뜨고 검사 - 좌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 간에 유의한 결 과를 얻었다. 결론 :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은 노인의 균형 능력 향상에 좀 더 긍정적이었으며 임상 및 지역사회 에 서 좀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과정
3. 프로그램 전 집단 간 균형 능력 비교
4. 중재방법
5. 측정 도구
6.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집단별 프로그램 전ㆍ후 변화 비교
2. 집단 간 균형 능력 변화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