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사회 거주 일반노인의 사회적지지, 사회적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a Local Community

김형민, 심경보, 김환, 김석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residing in a local community.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5 healthy old men and women of 13 sites of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public health centers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ju.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that include general characteristics, cognitive ability,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 and quality of life. The analysis was made on 63 replies except 12 subjects who had been excluded by the subject selection criteria. Result :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of variables affecting life quality,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in contact frequency(p<.05), intimacy(p<.001), and social support(p<.001). Finally, it was analyzed that the variable of intimacy (p<.001) affected life quality of general aged people living in regional community.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intimacy of general aged people living in regional community was a major variable to affect life quality. It could be identified that intimacy which is qualitative feature of social, relational network for the aged who live passive life was important.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일반노인들의 사회적지지, 사회적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에 소재한 장애인복지관, 보건소, 노인복지관 13곳의 건강한 남·여 노인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 인지능력, 사회적지지, 사회적관계망, 삶의 질이 포함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대상자 선정 기준에서 제외된 12명을 제외한 6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 였다. 결과 :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 접촉빈도(p<.05)와 친밀도(p<.001) 그리 고 사회적지지(p<.001)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지역사회거주 일반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친밀도(p<.001)로 분석되었다. 결론 : 지역사회 거주하는 일반노인들의 친밀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수 동적인 삶을 살아가는 노인이게 있어 사회관계망의 질적 특성인 친밀도의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2. 연구 도구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Ⅲ.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관관계
  3.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형민 Kim, Hyeong-Min.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심경보 Sim, Kyoung-Bo.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김환 Kim, Hwan. 대구대학교 작업치료과
  • 김석범 Kim, Souk-Boum. 제주한라대학교 작업치료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