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사회 재활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 체계적 고찰

원문정보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 A Systematic Review

박영주, 장문영, 김경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for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methods and result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through systematic review. Methods : The materials of the research were collected by retrieving research items in the area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nd "traumatic brain injury" from the data base of Ovid and PubMed. Among the collected materials, 7 research results are suggested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in community-based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in terms of subjects, measurement tools, cure methods and results. Results :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diverse in numbers of subject, age, level of impairment and duration of disease. Research designs were all experimental studies and the most outcome parameter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as occupational performance(27.7%). Cure methods were u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concerning rehabilitation programs, cognitive therapy,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Conclusion : The results implied that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is effective on occupational performance, participation, prevention, and occupational justice, partially effective on adaptation, health and wellness, and non effective on the role competence. It is suggested the future research need to be done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and studies in every types.

한국어

목적 :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재활치료의 중재방법 및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계적 고찰 을 하였다. 연구방법 : 자료는 데이터베이스인 Ovid와 PubMed를 통해 검색하였다. 사용된 검색어는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와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이었다. 그 중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대상 으로 지역사회 재활치료를 실시한 7편의 연구결과를 가지고 대상자, 평가도구, 중재방법과 중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수, 연령, 손상정도, 손상기간은 다양하였다. 연구 설계는 모두 실험연구의 형태로, 평 가도구는 작업수행을 평가하는 영역이 5개(27.7%)로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은 작업치료사가 참여하는 전 반적 재활프로그램,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가정방문 작업치료를 시행하였다. 중재효과는 결과측정 방 법에 따라 작업수행, 참여, 예방, 그리고 작업 정의 영역에서 효과적이었고 적응, 건강과 안녕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효과를 보였으며, 역할능력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결론 : 지역사회를 기초로 한 재활치료는 작업수행, 참여, 예방, 작업 정의에서 효과적이었으나 역할능력에 서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지역사회 재활에서 각 영역별 중재 프로그램 및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 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2.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1.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특성
  2. 평가도구
  3. 지역사회 중재방법 및 중재효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영주 Park, Young-Ju. 김원묵기념 봉생병원
  • 장문영 Chang, Moon-Young.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김경미 Kim, Kyeoung-Mi.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