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Physiological Changes by The Types of Paralysis Model in Activity Daily of Living
초록
영어
The previous studies were prevalent a study of treatment like a environmental modification or compensative approach and intervention which used in today to paralyzed patients. These interventions were related with occupational therapy wid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um for environmental modification, compensative approach, and intervention observing physiological changes which is shown in early paralyze patients. The subjects were 40 students who were 20 female and 20 male in a college. The students were devided into hemiplegic and paraplegic model. The model was designed using a experimental cloths. A instrument to measure body composition was a precision instru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no different homogeneity between activity daily of living of hemiplegic and paraplegic mode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body water and basal metabolic rate between before and after activity daily of living of hemiplegic model.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body water and basal metabolic rate between before and after activity daily of living of paraplegic model. Fo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physiological change between after activity daily of living of hemiplegic model and paraplegic model. We observed early changes of body composition using a hemiplegic and paraplegic model. We could know it was reduced body water rate and basal metabolic rate in regardless of type of paralysi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these physiological changes of paralyzed patients and improve body water and basal metabolic rate of the patient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초기 마비환자 유형별 나타나는 신체조성 성분의 변화를 통한 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비교하여 재활치료 시행 전과 치료 중의 신체조성 성분의 기초 자료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일부지역 대학의 남․녀 각 20명씩 편마비와 하지마비 모델로 구성하여 2011년 6월 에 연구를 실시하였다. 마비 유형별 제작은 장애 체험복을 이용하였고 신체 조성의 성분 측정 을 위한 도구는 체조성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하루 동안 일상생활활동 수행 전, 후를 비교하 였다. 일상생활활동 수행은 실내·외 이동, 일상적인 일(수업, 식사 등)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사전에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대상자의 수에 대한 정규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편마비와 하지마비의 사전 사후 신체조성 성분을 마비별 검사에서는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편마비와 하지마지의 사후 신체조성 성분 비교에서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편마비와 하지마비 모델간의 일상생활활동 전의 동질성 검사에서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편마비 모델의 일상생활활동 전·후의 생리적 변화 비교에서는 체수분, 기초 대사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하지마비 모델의 일상생활활동 전·후의 생리적 변화 비교에서는 체수분, 기초 대사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편마비와 하지마 비 모델간의 일상생활활동 후의 생리적 변화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마비환자는 유형에 관계없이 초기에 체수분량과 기초 대사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따라서 치료사들은 마비 환자들은 치료 전과 치료 중에 이러한 생리학적 변화가 발생함 을 인지하고 체수분과 기초 대사량의 저하로 인한 이차적 질환 유발의 예방이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마비 유형별 일상생활활동 수행 전신체조성 성분의 비교
2. 편마비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전ㆍ후 신체조성의 비교
3. 하지마비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전ㆍ후 신체조성의 비교
4. 마비 유형별 일상생활활동 수행 후 신체조성의 비교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