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ew education policy requires teachers’ collaboration and dedication, such new education policies more often than not tend to increase the workload of teachers, which results in the failure of policy implementation. To investigate whether the new educational policy increase teachers’ workload or not, Free Learning Semester Policy(FLSP), which was started in 2013, is selected. A on-line survey was administerd to FLSP-adopting school teachers and non-adopting school teachers, and a total of 2,203 responses a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show that teachers highly agree that the FLSP increase their workload and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by school types. Teachers report that the heaviest workload is ‘administrative duty’ and the workloa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school types. Among teachers at pilot schools, female teachers, department heads and homeroom teachers, teachers with in-service education on FLSP perceive that their workload is heavier than their counterpart.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ew education policy are suggested.
한국어
이 연구는 새로운 교육정책의 도입이 현장에서 정책을 집행하는 교사들의 직무부담을 증가시키고 이는 목표 달성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13년 중학교에 도입된 자유학기제 정책을 선택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 총 2,203명의 응답 자료를 토대로 자유학기제 정책으로 인한 교사의 직무부담 증가 여부, 직무 영역별 부담 수준,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 영역별 부담 수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t-검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정책으로 인하여 자신들의 직무부담이 증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들의 추가부담은 직무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행정업무를 가장 큰 부담으로 인식하였고, 대체적으로 연구학교 근무 교사들의 부담 수준이 희망학교 및 일반학교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구학교 교사만을 대상으로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 영역별 부담 수준을 분석한 결과 여교사, 부장교사 및 담임교사,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직무부담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유학기제 정책의 전면적용을 앞둔 시점에서 정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자유학기제의 도입배경 및 개요
2. 자유학기제 시행학교 교사들의 직무
3. 교사 직무부담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3. 자료 처리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1. 자유학기제 정책으로 인한 교사의 직무부담 증가에 대한 인식
자유학기제 정책으로 인한 교사의 직무 영역별 부담에 대한 인식
3. 자유학기제 정책으로 인한 교사의 개인배경별 직무부담에 대한 인식
4. 종합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