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友雲堂 眞熙 分舍利塔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istribution Sarira Stupa of a Great Buddhist Priest Wooundang Jinhee

우운당 진희 분사리탑 연구

신용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the distribution sarara stupa of Wooundang Jinhee (?~1694). The epitaph for Wooundang in Tongdosa temple reads that sarira stupas were build in as many as 10 temples including Tongdosa. Generally one stupa in one temple was built for a priest and distribution sarira stupas started to be built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However, Woowndang is unique in having so many distribution sarira stupas in 10 plances.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10 stupas. Four of them could be confirmed based on documents and the existence of four others could also be assumed. However, the remaining two could not be traced. In terms of form, Tongdosa's stupa was sphere type and others were likely to be bell type. In particular, bell-style stupas looked like the Buddhist ordination platform where sarira was enshrined and the precepts of Buddhism was administrat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intention to identify him with the Buddha beyond building a sarira stupa just borrowing the style of Buddha's sarira stupa. Originality is noticeable in details, not following the existing styles of the established stupas. From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10 sarira stupas were likely to be constructed based on an elaborate plan by the same craftsman commissioned by Wooundang's disciples and followers. It is fair to say special value was given to Wooundang's distribution sarira stupas considering their construction style-from the sphere and bell type which was modeled after bell enshrining the Buddha's sarira from India to the shape of the Buddhist ordination platform. Therefore, the 10 Wooundang distribution sarira stupas have a great significance and historic value and huge impact on monk stupas built in the Gyeongsang region afterwards.

한국어

본 논문은 友雲堂 眞熙(?~1694)의 분사리탑에 대한 연구이다. 우운당은 임진왜란으로 황폐 화 된 통도사를 재건하여 통도사에서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통도사에 남아 있는 <逍遙門人友雲堂眞熙大師碑>에 따르면, 우운당의 탑은 통도사를 위시하여 무려 10곳의 인근 사찰에 건립된 것으로 전한다. 일반적으로 승려는 1사찰 1탑의 기본이었고 고려말부터 분사 리탑이 건립되었나 10여곳에 이르는 많은 분사리탑이 건립된 예는 우운당이 유일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0개의 탑을 확인한 결과 4기는 명문에 따라 확인이 가능하고 나머지 6기 가운데 4곳은 분사리탑을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나머지 2곳은 확인이 불가능하거나 유실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탑의 형식에 있어서는 통도사는 원구형으로 나머지 사리를 모신 9개 사찰은 종형으로 건립 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종형에 있어서는 불사리를 모시고 수계의 의식 을 행하던 장소인 戒壇과 유사한 형식의 탑으로 건립되었다. 이는 단순히 부처의 사리를 모셨 던 탑형을 차용하여 건립하는 것에서 벗어나 부처와 동격을 같이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한편 세부표현 방식에 있어는 기존에 성립되어 있는 부도의 양식을 따르지 않고 독창성이 눈에 띠는데, 이를테면 기단부의 범자나 화문, 신장상이나 탑신부에 상대와 하대를 구획하고 각종문양 등을 조각하는 등의 새로운 양식이 돋보인다. 이를 통해 볼 때 10기에 달하는 우운 당 분사리탑의 건립은 제자와 신자들에 의한 치밀한 계획에 의해 같은 石工집단에 의뢰하여 조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승탑은 개인의 묘탑으로 고려말에 이르러 선사에 대한 인식이 변화와 함께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었다. 즉 승려의 분사리탑 건립을 통해 禪師의 지위를 부처와 동일시 여기는 것이다. 형식적으로는 인도부터 부처의 사리를 보관하던 鍾을 표현한 원구형과 종형, 특히 戒壇形 僧 塔으로 조영한 점은 이미 묘탑으로의 의미를 뛰어 넘는 가치가 부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최상의 가치를 표현한 것이 바로 10기에 달하는 우운당의 분사리탑으로 그 의미와 역사적 가치는 매우 높다. 또한 이후 경상지역 부도탑 건립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우운당 분사리탑이 갖는 위치를 간과할 수 없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통도사의 재건과 우운당의 행적
 Ⅲ. 분사리탑의 고찰
 Ⅳ. 분사리탑의 특징과 경상지역 승탑사에 미친 영향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용철 Shin Yong-chul. 양산시립박물관 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