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漣川 深源寺 <霽月堂碑> 硏究

원문정보

Research on Stele for Buddhist Monk Gyeongheon at Simwonsa Temple, Yeoncheon

연천 심원사 <제월당비> 연구

김민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ele, which contains inscriptions about the life of Buddhist Monk Gyeongheon (pen-name: Jewoldang; 1544-1633), was erected in 1636. The inscriptions tell us that stupas were erected at temples like Simwonsa, Pyohunsa, Cheongwansa, Myohuiam, and Hyangnimsa to keep the sariras left in his body after the cremation process, and that the stone used to make the monument was brought from Hongseong, Chungcheongnam-do on a boat. At that time, Buddhist Monk Myeongui, one of Jewoldang’s disciples, was staying at Hyangnimsa Temple in Imcheon(near Hongseong). The inscriptions include the names of Sin Ik-seong, who composed the inscriptions, Yi Gwang, who wrote the inscriptions by hand, and Prince Neungwon, along with the phrase “Long Live the King.” Thus, the inscriptions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with the help of members of the royal family, particularly descendants of Kim, one of King Seonjo’s concubines(also King Injo’s grandmother). The stele portrays a dragon at the capstone, with both eyes of the dragon clearly shown. Such feature is also found in the tombstones of Kim Sang-yong of Andong Kim Clan and Jeong Gwang-seong of Dongnae Jeong Clan, which were erected during the same period. The craftsman who made this stele also likely made the tombstones of these people, or the two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The stele for Buddhist Monk Gyeongheon, along with the monuments for State Preceptor Doseon and Royal Preceptor Sumi at Dogapsa Temple in Yeongam-gun, is one of the leading stone structures erected with support from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y tell u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circles and the royal family and the flow of stone sculpture in the 17th Century.

한국어

霽月堂 敬軒(1544-1633)의 생애를 기록한 <霽月堂碑>는 1636년 漣川 深源寺에 건립되었 다. 이 비문을 통해 제월당이 入寂한 뒤 수습한 5顆의 사리를 나누어, 深源寺, 表訓寺, 天冠 寺, 妙喜庵, 香林寺 등에 사리탑을 건립했으며, 그 비석돌은 충남 홍성에서 채취해 배로 운반 해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천에서 멀리 떨어진 홍성에서 비석을 채취해 온 것은 홍성 인근 林川 聖興山 香林寺에 제월당의 제자인 明義가 주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비문을 지은 東陽尉 申翊聖, 쓴 義昌君 李珖, 비 뒷면에 새겨져 있는 ‘主上殿下壽萬歲’ 등 祝願과 義昌君, 綾原大君의 이름으로 볼 때 이 작품은 왕실의 도움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 다. 특히 그 중에 宣祖의 후궁이자 仁祖의 할머니인 仁嬪金氏 후손들이 주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식적으로 <제월당비>는 螭首의 용을 조각할 때 두 눈을 모두 표현한 것이 특징인 작품으 로, 같은 시기 安東金氏 金尙容 가문, 東萊鄭氏 鄭廣成 가문 등 17세기 중후반 비석에서 동일 한 표현방법이 발견된다. 이로 미루어 <제월당비>를 제작한 장인들과 위 사대부묘 비석을 제작한 장인들이 서로 동일한 집단이거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월당비>는 海印寺 <四溟堂 石藏碑>, 表訓寺 <西山大師碑>, 道岬寺 <道詵國師·守 眉王師碑> 등과 더불어 17세기 전반 왕실의 후원으로 제작된 사찰 石造物의 대표적인 작품으 로 17세기 왕실과 불교계의 관계를 짐작하고 석조미술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 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제월당비>의 비문 내용과 건립 의미
  1. <제월당비>의 현황과 비문 검토
  2. 제월당 경헌의 分舍利塔 建立 의미
 Ⅲ. <제월당비>의 제작과정과 왕실의 후원
  1. <제월당비>의 석재 産地와 運送 고찰
  2. 17세기 왕실 후원 사찰 비석 건립
 Ⅳ. <제월당비> 螭首의 양식 고찰
  1. 조선시대 이수 형태의 변화
  2. 17세기 螭首양식의 다양성과 <제월당비>의 위치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민규 Kim Min-kyu. 간송미술관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