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철제입사공예품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silver-inlaid iron crafts in the late Chosun period

이선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lver inlaying technique is a craft skill that ornaments designs and patterns by pressing ductile material on intagliated metal surface in using of color contrast. Inlaying technique on pecked surface applying to steel products differs to the e×isting technique in an aspect of physical attribute. On this basis Chosun produced various kinds of silver-inlaid iron crafts with diverse patterns and icons in comparison to previous periods. This study addresses to the typical transitions of metal crafts as transmutative phenomena in arts history in relations to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ectors by surveying the variation of silver-inlaid iron craft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dissertation would devote itself to illuminate the concrete aspects on silver-inlaid iron crafts in the late Chosun period by considering producing circumstance and conditions, techniques and patterns, as well as cultural and socio-economic relations at the time. As a replacement of a conventional theory on the introducing time of inlaying technique on pecked surface, This paper reset the timing into the early Chosun period on the grounds of advanced studies on foreign relations of the time and newly reported antiquity.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serves to elabora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tions focusing on clarifying types and transitions of them. The environment of inlaying technique on pecked surface in the era in connections with foreign relations, changes of material demands and supply and manufacturing systems respectively. The eldest piece of remaining instances for inlaying technique on pecked surface can be exemplified of a Chinese helmet in Yuan Dynasty with a chronogram of 1350. Regarding the intimate relation between Koryeo and Yuan, it is natural to assume the late fourteenth or the early fifteenth century as an introduction time for the technique with trading of weapons. Although none of the works has Lee Soon Shin with an chronogram of fifteen ninety four proves that the skill reached a certain level of technical development before the sixteenth century. Moreover, in the post-wars era constantly suffered from the lack of copper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trade with Japan that had been a major copper supplier to the Chosun Dynasty. In addition to the advance of antirust technique and decorative feature, this situation leaded to replace bronze crafts to iron products in prder to meet increasing demands of lu×ury items for the loyal family and high level military officers. However, the financial fall of the dynasty from the sixteenth century caused craftsman in the state-controlled manufactory to enter public markets, so that new costumers influenced the designs and icons of the products.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 type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chapter's research taking formality anf patterns as the central figures. It clarifies into three periodical types, and defines its typic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ors of transitions in each. This analysis, in conclusion, explains the whole aspect of silver-inlaid iron crafts in the late Chosun period including the understandings of pattern composition and typical features of each durations of the time, and, hopefully, illuminates the significance of silver-inlaid iron crafts of the late Chosun period in the history of arts.

한국어

바탕금속으로 철을 사용하는 쪼음입사기법은 기존의 입사기법과는 다른 물리적 속성을 바 탕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표현기법은 전시대에 비해 다양하게 나 타나는 입사공예품의 문양과 도상의 기술적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조선 전기 철제입사공예품은 입사재료인 금, 은 등의 귀금속 부족현상과 관영수공 업이라는 제도적 틀 안에서 입사장에 의해 왕실 및 고급 무반의 위세품과 무구 등 특수한 용도로 그 품목이 한정되어 유통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1594년의 절대년도를 가진 현존 최 고 작례인 이순신 장검을 통해 이미 16세기 이전에 쪼음입사기법이 상당수준에 이르렀을 것 으로 생각된다.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중반의 기간 동안 조선은 양란을 거치면서 병력규모가 증강되었고, 이로 인해 무구의 수요는 급격히 증대되었다. 무구를 중심으로 시문되어 온 철제입사공예품 의 수요 또한 확산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관련 기술 수준의 향상과 기술 인력 의 증가를 수반하여, 조선 후기 철제입사공예품의 양적, 질적 발전의 토대가 된 것으로 판단 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조선시대 입사기법 가운데 쪼음입사기법을 중심으로 현전유물의 세부적 제작기법에 대해 살펴보고, 철제입사기법이 조선후기에 제작되게 된 배경과 시기별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기에 해당되는 17세기 초부터 18세기 초는 양란을 거치면서 기존 무구를 중심으로 시문되 어온 철제입사공예품의 수요의 확산과 관련 기술 수준의 향상으로 점차 철제입사공예품이 다양한 기종과 문양으로 나타나는 초기 확산단계로 부분적이나마 경공장에 의해 철제 무구를 포함한 왕실과 관련된 철기물이 입사공예품으로 제작되는 시기이다. 2기는 관련 기술이 안착되고 철광업과 은광채굴의 증가로 전대의 기술을 바탕으로 왕실과 고급무관의 위세품 뿐 아니라 향완과 향로와 같은 종교기물과 생활용품에까지 철제입사공예 품이 확산되고 제작되었다. 철제입사공예품의 확산은 수요층의 다양화를 가져오게 되며, 이 는 철제입사공예품의 시기 변화를 고찰함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8세기 후반부터 조선은 점차 상업경제가 크게 발달하고 관청납품을 주로 하던 장인계층 은 분화되었다. 이로 인해 장인들은 민수품을 만들어 수요자에게 직매하거나 시전 상인들에 게 도매하는데 주력하게 되면서 일반 상품시장에도 철제입사공예품이 한층 확산되는 계기를 이루었다. 조선중기 이후 정치적 안정기에 접어들고, 왕실과 경화세족뿐만 아니라, 중인계층 이 성장하고, 일부에서는 거상세력이 나타나 사회적 부를 축적함으로서, 사치품에 대한 수요 가 마련되었다. 신흥 부유층들은 경제적 부를 바탕으로 상층문화를 향유함으로써 계층간의 열등감을 극복하고자 그 동안 왕실이나 특정 지배층만이 독점적으로 사용하였던 입사공예품 등 고급 공예품을 구매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근대기를 거치면서 왕실에서는 수공업 체제의 해체 로 인해 질적 퇴조에 대응하여 왕실 고유의 전통 기물을 제작해야 할 필요성을 느 끼고 1908년 왕실 직영 관영 공방인 한성미술품제작소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근대 생활양식 의 개량에 목표를 두고 산업생산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점차 철제입사공예품은 더 이상 상품 으로 생산되지 않고 있으나, 전통문화적 가치로 전승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쪼음입사기법은 고려 원간섭기 이전시대까지 볼 수 없었던 수준 높은 기술로 기존에 알려진 조선후기 발생설보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선전기에 이미 왕실에 서 철제입사공예품을 제작,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바탕금속으로 철을 사용하는 쪼음입사는 조선후기 수요층의 다양화를 가져오게 되면서 왕실, 관수용품, 종 교기물 및 무구를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제작되던 철제입사공예품이 상공업의 발전에 따른 수요층의 확대로 필통, 담배합 등의 일상공예품까지 제작되었다. 기종에 따라 수요자층의 미 감이 적극적으로 반영되는 도상과 시문양식이 나타나고, 기복적 성격을 지니는 십장생, 칠보, 문자 등의 길상을 의미하는 문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철제입사공예품의 전래와 보급
 Ⅲ. 조선후기 철제입사공예품 제작체계와 입사장
 Ⅳ. 조선후기 철제입사공예품의 시기별 특징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선진 Lee Sun-Jin.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