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양산 가야진사유적 출토 陶磁祭器의 현황과 성격

원문정보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eramic Ritual Vessels Excavated in Gayajinsa Shrine, Yangsan

양산 가야진사유적 출토 도자제기의 현황과 성격

고준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dissertation i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eramic ritual vessels that were excavated at Gayajinsa shrine site, Yondang-ri, Yangsan during the excavation conducted between 2010 and 2011. Gayajinsa is a shrine where national ceremonies, equivalent to the medium ancestral rite used to be carried out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excavation, the following were discovered: plenty of grayish- blue-powdered celadon (Buncheongware), white porcelain ritual vessels as well as the relics of the shrine built first in the early Joseon Daynasty. The total number of the excavated pieces is 25, including various kinds such as Bo, Kwae, Heejun, Sangjun, Daejun, Deung, Jak, or Sae. As the chance to find package relics that have a clear consumption place is very slim, I think this excavation is a big and significant one. Then, I tried to estimate when those ceramic ritual vessels were created and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they can be divided into 3 phases (early, middle and late 15th century) according to their shape, decoration method, by comparing them with metal ritual vessels from historical materials and relics excavated at other sites. It is estimated they were created at 2 separate kiln sites; one is Hopo klin site, Gasan-ri, Yangsan operating in the early and middle 15th century and the other is Sangri kiln site, Gasan-ri, Yangsan, operating in the middle and late 15th century. I think the products created in the early 15th century were made at Hopo and those in the middle and late 15th century were made at Sangri. Also, judged by the kinds of those vessels, it can be inferred that most of the metal ritual vessels for ancestral rites had been replaced with ceramic ones by that period. This is an interesting contrast as those for royal ancestral rites hardly changed, except a few of them were replaced with high quality of white porcelain vessels. This leads us to the point that Gayajinsa Shrine started ancestral rites in the 1420s at the latest and introduced ceramic ritual vessels in the 1430s provided with a whole package from Hopo kiln site (The 1st Supply). Later in the 1450s, it was provided with ceramic vessels again (all or in part) made at Sangri kiln site (The 2nd Supply). In the 1460s, however, the shrine was flooded out as the Nakdong River in the vicinity overflowed only to stop its practice of ancestral rites. After then, it was reconstructed to resume the ancestral rites in the middle 1470s; I infer it is when the shrine once again received a whole package of ceramic ritual vessels from Sangri kiln site (The 3rd Supply). In addition, the relics of the reconstructed building do not show any trace of an altar, which implies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the altar was moved to be oriented to the direction of Hanyang(Seoul). This dissertation discusses how ceramic ritual vessels were used during the 15th century when Gayajinsa shrine was existing in Yongdang-ri and the conduct of ancestral rites using them. In conclusion, I’d like further investigation to be made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Gayajinsa Shrine after it was relocated to Bisukgol Valley.

한국어

본 논문은 2010~2011년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양산 용당리 가야진사유적 출토 도자제기의 현황과 그 성격을 파악해보고자 한 것이다. 가야진사는 조선시대에는 중사에 해당하는 국가 제례가 봉행되었던 사당이다. 발굴조사 결과 2차에 걸친 조선시대 전기의 건물지가 확인되었 으며 다량의 분청사기·백자제기가 출토되었다. 총 수량은 25점에 이르며 보·궤·희준·상 준·대준·등·작·세 등 기종이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소비처가 확실한 일괄유물은 사례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출토된 도자제기들을 형태와 분장방법, 사료에 나타난 금속제기들과의 비교, 타 지역 출토 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제작시기를 추정한 결과 15세기 전반(1430~1450년), 15세기 중반 (1450~1460년), 15세기 후반(1470년 이후)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도자제기들의 생산 지는 15세기 전·중반에 운영되었던 양산 가산리 호포도요지와 15세기 후반에 운영되었던 양산 가산리 상리도요지로 추정되는데, 15세기 전반 제작품은 호포도요지에서, 15세기 중 반·후반 제작품은 상리도요지에서 생산되어 가야진사로 공급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가 야진사유적에서 출토된 도자제기의 기종을 통해 당시 제의에 필요했던 금속제기가 대부분을 도자제기로 대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왕실의 제의에서는 일부 기종만 고급의 백자(청화백자) 로 대체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를 통해 가야진사가 늦어도 1420년대 제의를 시작하여 1430년대에 처음으로 도자제기를 도입하면서 호포도요지 생산 제기일괄을 공급받았음을 알 수 있다(1차 공급). 이후 1450년대 에는 상리도요지에서 생산된 제기 일부 혹은 일괄을 다시 공급받았다(2차 공급). 하지만 1460년대 중반 인접한 낙동강의 범람으로 건물이 침수되어 제의가 중단되었다. 이후 보수와 개축을 거쳐 1470년대 중반 제의가 다시 재개되었으며, 이 때 상리도요지에서 생산된 제기일 괄을 다시 공급받았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3차 공급). 한편, 2차로 사용된 건물지에서는 제 단이 확인되지 않는데, 이는 1460~1470년대 개축과정에서 한양의 방위에 맞게 제단이 이동되 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논문에서는 용당리에 가야진사가 위치했던 15세기 약 100여 년간의 도자제기 사용과 이를 통한 제의의 운영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비석골로 이전해간 이후의 가야진사 현황에 대 해서도 파악할 수 있는 조사가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가야진사유적 출토 도자제기의 제작시기와 생산지
 Ⅲ. 가야진사유적 출토 도자제기의 소비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고준휘 Ko Jun-hwee. 표충사 호국박물관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