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Research on the White-Marble Images of Pensive Bodhisattva from the Wuding Period of the Eastern Wei Dynasty ― The Study of Locality based on the “Image made in the 2nd year of Wuding Regime” of Ye City and the inference of the production site of the Image of Pensive Bodhisattva retained b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
동위 무정연간 백석제 반가사유상 연구 ― 업성 북오장 신출 ‘무정2년상’을 통한 지역성 탐색 및 메트로 폴리탄 뮤지엄 소장 반가상의 제작지 추정 ―
초록
영어
This paper deals with questions concern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duction site of the Images of Pensive Bodhisattva created in the Wuding Period of the Eastern Wei Dynasty. The Image of Pensive Bodhisattva, made mainly with white marble, was very popular in the Eastern Wei and Northern Qi Dynasties. The principal production center of the white marble was the whole area of Dingzhou, including Quyang, located in central Hebei Province. Thus white-marble-carved statues were almost collectively defined as “Dingzhou Style.” The Image of Pensive Bodhisattva was also known as a typical sculptural form of the Dingzhou area. However, because as many as 3,000 white-marble Buddhist sculptures were excavated in 2012 in Bei Wuzhuang Village of Linzhang County in Southern Hebei Province, the site of Ye City which was the capital city of the Eastern Wei and Northern Qi Dynasties, it has become necessary to reevaluate the styles and the production site of white-marble statues. In particular, the Image of Pensive Bodhisattva with the inscription “2nd year of Wuding Regime,” excavated from Bei Wuzhuang Village, is noteworthy. It is because this image was created before the one made in the 5th year of the Wuding Regime, which was excavated in the Xiude Temple Site of Quyang and is known to represent the “Dingzhou Style.” On both images the Double Tree motif appears for the first time; this motif was popular in the Northern Qi Period. The Double Tree motif features two trees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mage; it is known as an attribute of the “Dingzhou Style.” However, the excavation of this image increased the possibility that the Images of Pensive Bodhisattva with the Double Tree motif originated in Ye City first and spread to the Dingzhou area. Although the two aforementioned images have the Double Tree motif in common, there is a difference in detail. In the images excavated in the Xiude Temple Site, a Curled-up Dragon motif moving up the trunk of two trees appears. This is a distinctive motif of the “Dingzhou Style.” By contrast, the Curled-up Dragon motif does not appear in the images excavated from Bei Wuzhuang Village. Not only in the previous image but in the images excavated from the whole area of Ye City, the Curled-up Dragon motif is not displayed. These differences in form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in production sites and reflect the historical fact that white-marble images were produced not only in the Dingzhou area but in several areas as well in the Eastern Wei Period. The study of locality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wo Pensive Bodhisattva Images made in different sites provides valid clues for inferring the production sites for the white-marble images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In this paper,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we determined the production site of the Image of Pensive Bodhisattva “made in the 2nd year of Wuding Regime,” which is retained b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and whose excavation site is unknown, to be Ye City. Also, the fact that this image is of Five Statue, that the Flying Stupa motif appears on top of the front of the image, and that it does not emphasize in its inscription that it was made with jade, as those from the Dingzhou area typically do, establishes that this image was produced in Ye City.
한국어
이 논문은 東魏 武定 연간에 제작된, 雙樹龕을 가진 세 건의 白石製 반가사유상을 통해 동위·북제시기 불교조상의 지역적 특징과 제작지 문제를 논의한 연구이다. 반가사유상은 동위·북제시기에 매우 유행했으며, 주로 백석으로 제작되었다. 백석은 하북 성 중부에 위치한 曲陽을 포함한 定州 일대가 주요 산지이다. 때문에 과거 백석제 조상은 대부분 ‘定州樣式’의 범위 안에서 논의되어 왔다. 반가사유상 역시 정주지역의 대표적인 조각 형식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2012년 동위·북제시기 도성 鄴城의 소재지인 하북성 남부 臨漳 縣의 北吳莊에서 3000건에 이르는 다량의 백석제 불교 조상이 출토됨으로써 백석상의 양식과 제작지를 다시 논의할 필요가 있어졌다. 특히 北吳莊에서 출토된 ‘무정2년’ 銘文을 가진 반가사유상은 매우 주목할 만한 조각이다. 왜냐하면 이 상은 曲陽 修德寺址에서 출토된, 정주양식을 대표하는 무정5년 제작의 반가사유 상보다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두 상에는 모두 북제시대에 크게 유행하는 쌍수감 이 새롭게 출현하고 있다. 쌍수감이란 조상의 좌우에 두 그루, 혹은 네 그루 등의 나무를 배 치하여 佛龕을 이루는 형식으로, 그동안 정주양식 반가사유상의 특징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 데 이 상의 출토로 인해 쌍수감을 표현한 반가사유상은 업성에서 먼저 출현, 정주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커졌다. 비록 상술한 두 조각은 쌍수감이라는 공통적인 모티프를 가지고 있지만 세부적으로는 차이 가 있다. 수덕사지 출토 반가사유상에는 정주양식의 특징인 두 그루의 나무줄기를 타고 위로 올라가는 蟠龍文이 등장한다. 그런데 북오장 출토 반가사유상에는 반룡문이 출현하지 않는 다. 이 반가사유상 뿐 아니라 북오장을 포함하는 업성 일대에서 출토된 조각에서는 정주지역 의 것과 동일한 형태의 상승하는 반룡문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런 형식적 차이는 제작지의 차이에서 유래하는 것이며, 동위시기 백석제 조각이 정주 일대 뿐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제작 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제작지가 다른 두 반가사유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은 지역성의 탐색은 세계 각지에 흩어 진 백석상의 제작지 추정에 유효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상술한 분석을 기초로 출토지 未詳인 미국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소장 ‘무정2년’ 반가사유상의 제작지를 鄴城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이 상이 오존상이란 점, 상단에 寶塔文이 출현하는 점, 그리고 銘文에 정주 지역처럼 ‘玉’으로 제작되었음을 강조하는 특징이 없다는 점 등도 이 상이 업성에서 제작되었 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것이다.
목차
Ⅱ. 雙樹龕 형식의 무정 연간 반가사유상
1. 雙樹文과 雙樹龕
2. 蟠龍文
3. 寶塔文
Ⅲ.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무정2년상의 제작지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