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蔚珍 佛影寺의 佛像과 彫刻僧 : 尙倫, 卓密

원문정보

Buddhist Statues of Bullyeong-sa Temple in Uljin and Their Two Creators, Sangryun and Takmil

울진 불영사의 불상과 조각승 : 상륜, 탁밀

宋殷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es of Buddhas, bodhisattvas, and a patriarch enshrined in the Eungjin-jeon, Myeongbu-jeon, Geungnak-jeon, Uisang-jeon, and Hwanghwa-sil halls in Bullyeong-sa Temple and three barwonmun or documents for praying wishes stored in the temple museum. The study reported that the 1677 record about the statues made by six monk sculptors led by Sangryun is related to the Buddhas of Three Periods and the Sixteen Arhats enshrined in Eungjin-jeon Hall in Bullyeong-sa Temple, whereas the second record about the statues -- made in 1688 by Sangryun and his two assistants -- is related to the Kṣitigarbha Triad and Ten Underworld Judges enshrined in Myeongbu-jeon Hall. The third record about the statues, made in 1704 by a group of nine monk sculptors headed by Takmil, is connected with the Śākyamuni Triad enshrined in Geungnak-jeon Hall.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documents for praying wishes and the statues was discovered since the style of the statues enshrined in the Bullyeong-sa prayer halls has a similarity with that of the statues produced by the same monk sculptors for other Buddhist temples. For instance, the sculptural works by Takmil, who is recorded as the chief sculptor in the document written in 1704, have been well-studied, enabling a direct comparison between them. As for the works by Sangryun, who appears as the chief sculptor in the document written in 1677 and 1688, the study had to conduct an analysis of indirect comparisons based on the works by Seungho, who is generally regarded as Sangryun's tutor, because there is no other discovered work known to be his so far.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Buddhas of Three Periods and the Sixteen Arhats in Eungjin-jeon Hall and the Kṣitigarbha Triad and Ten Underworld Judges in Myeongbu-jeon Hall were created in 1677 and 1688, respectively, by monk sculptors including Sangryun, who was one of the successors of Seungho. It also found that the three Buddhist statues enshrined in Geungnak-jeon Hall is a Śākyamuni rather than Amitābha and his two acolytes, made in 1704 by Takmil, and that the statue of Avalokiteśvara in Hwanghwa-sil Hall was made in 1688 by Sangryun even though there is no related record discovered so far. As for the statue of Great Priest Uisang enshrined in Uisang-jeon Hall, the study presents no definite name for its creator because there are as many similarities a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statue and other works made by Seungho or Sangryu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newly discovered three documents for praying wishes and related statues enshrined in Bullyeong-sa Temple are important sources of information on the Buddhist sculpture of late Joseon period, serving as an important introduction to monk sculptor Sangryun and his sculptural works.

한국어

이 글은 울진 불영사의 응진전, 명부전, 극락전, 義湘殿 그리고 黃華室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 보살상, 조사상 등과 불영사 성보관에 소장되어 있는 3건의 발원문이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밝힌 논문이다. 즉, 1677년 수조각승 尙倫을 비롯한 여섯 명의 조각승들에 의한 조상 기록은 현재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는 삼세불상 및 십육나한상에 대한 기록이며, 1688년 수조각승 상륜과 두 명의 보조 조각승에 의해 만들어진 조상 기록은 현 명부전의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조성에 대한 기록이며, 1704년 卓密을 비롯한 아홉 명의 조각승들에 의한 조상 기록은 현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가삼존상에 대한 기록이라는 것이다. 이들 3건의 발원문과 불상들의 연관성은 각 전각에 봉안되어 있는 존상들의 양식적 특징이 각각의 발원문에 기록되어 있는 수조각승이 조성한 여타의 작품들의 作風과 비교를 통해 밝 힐 수 있었다. 1704년 불사의 발원문에 수조각승으로 기록된 조각승 卓密의 조상 사례는 지 금까지 여러 건이 보고되어 있어서 작풍의 비교를 통한 직접 분석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1677년과 1688년에 작성된 발원문에 수조각승으로 기록된 尙倫의 수조각승으로서의 조상 사 례는 아직까지 발견된 사례가 없어서, 상륜의 스승으로 추정되는 勝浩의 작풍을 기반으로 한 간접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응진전의 삼세불상 및 십육나한상, 명부전의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은 각각 1677년과 1688년에 수조각승 상륜을 비롯한 승호파 조각승들이 조성된 것임이 밝혀졌다. 또 한 극락전의 삼존상은 원래 아미타삼존상이 아니라 석가삼존상이며 1704년 단응·탁밀파의 탁밀에 의하여 조성되었다고 판명되었다. 또한 발원문이나 조성기가 조사되지 않은 황화실의 관음보살상은 양식상 상륜의 작품이며 제작 시기도 1688년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의상전의 의상대사상은 양식상 승호파와 유사성이 있지만, 상륜이나 승호의 작풍과 차이가 있어서 수 조각승을 특정하지는 못하였다. 이번 연구의 대상인 3건의 발원문과 불상들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자료들로 서,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매우 중요하며, 조각승 尙倫과 그의 작품들은 처음으로 알 려진 자료로서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각승 尙倫 : 응진전 삼세불상 및 십육나한상, 명부전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Ⅲ. 조각승 卓密 : 극락전 석가삼존불상
 Ⅳ. 黃華室의 관음보살상과 義湘殿의 의상대사상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宋殷碩 송은석.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