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敦煌 莫高窟 제217굴 남벽 벽화의 繪畵性

원문정보

The artistic qualities of the mural on the southern wall of Cave No. 217, Mogao Caves in Dunhuang, China

돈황 막고굴 제217굴 남벽 벽화의 회화성

장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ural in question was made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Chu Dynasty to the glorious age of the Tang Dynasty of China. By the mid-2oth century researchers had come to judge it as a Lotus Sutra Painting and thus it was widely recognized as a prototype of byeonsangdo (the paintings depicting the transmutation of the pure land or hell). By the early 21st century, however, certain researchers began to claim that it was an Usnisa Vijaya Dharani Sutra Painting. Thus, there is some confusion about the name and subject of the mural. This study intends to focus on its quality as a painting. The mural exhibits the features of a landscape style of painting of the kind made on a large canvas, using near, middle, and distant views in its composition, three-dimensional perspectives (high-distance, deep-distance, and level-distance), and a bird’s-eye view technique. The mural is composed of an independent section portraying heaven and this world based on Mount Meru; a right-hand section portraying olden-day tales set amid a natural landscape; a bottom section containing olden-day tales, with a low hill, a plain and buildings forming the backdrop; and a left-hand section portraying a Buddhist world consisting of mountain peaks, low hills and a plain as the backdrop. The narrative description displays effective and natural methods of portraying the content of Buddha’s teachings through individual or serial scenes by means of temporality, spatiality, and conversion from scene to scene. The narration contained in the mural divides the figures into holy Buddhist figures and those in the mundane world, and reveals to the viewer diverse traits of ordinary people as they appeared in olden-day tales and formalized Buddhist figures. The depiction of landscape features a blue sky and green natural surroundings based on three-dimensional perspectives. The mural also includes diverse structures such as royal palaces, temples, and ordinary houses of that time. It is thought that the mural was made in the form of a Buddhist painting in an attempt to depict religious ideals and the reality of the period.

한국어

막고굴 제217굴 남벽 벽화는 초~성당 교체기 제작된 벽화인데 20세기 중반이후 <法華經變相圖>로 판 단되면서 동일 소재 변상도 전형으로 높은 인지도를 확보했다. 그러나 21세기초 <佛頂尊勝陀羅尼經變相圖>라는 새로운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후 이 벽화의 명칭과 주제에 혼 선이 있으나 필자는 이 벽화의 회화성에 무게를 두고 검토하였다. 이 벽화의 회화성 중, ‘구도 및 화면구성’은 전체적으로 근경·중경·원경의 공간구성법과 평원·심원·고원의 삼원 투시도법, 그리고 부감법의 시점을 적용해 자유자재로 구사한 거폭 산수화풍을 표방하였는데, 수미산을 근간으로 천계와 지상을 묘사함으로써 독립화면을 이룬 중앙방곽, 전격적인 산수화를 배경으로 고사를 배치한 방곽 오른쪽, 그리고 야산 및 평야 또 는 건축물을 배경으로 고사를 도설한 방곽하부, 역시 중봉과 야산, 평야를 무대로 변상을 펼 친 방곽 왼쪽 등 각 위치의 화면들이 특색있게 전개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스토리의 회화적 서술’은 각 고사의 개별변상, 특히 연속적인 장면의 변상일 경우 효과적 이고 자연스러운 묘사 방법이 고안되어 시간성·공간성·장면의 전환으로 구분해 검토할 수 있었다. ‘화법’은 인물조형에서 불교존상과 세속인물상으로 구분해 이미 정형화된 불교도상의 시대 양식과 고사에 삽입된 세속인물들의 다양한 면모를, 산수표현에서는 근경·중경·원경을 근 간으로 한 청록산수로서의 산수화법을, 건축물에서는 당대의 궁궐 및 사원, 민간건축 등 다양 한 건축형식 등을 검토할 수 있어 남벽 벽화가 변상도 형식을 빌려 종교적 이상을 표출함과 동시에 당대의 현장감을 살린 회화예술임을 알 수 있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남벽 벽화의 주제와 명칭
 Ⅲ. 남벽 벽화의 회화성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희정 Jang hui-jeong. 금강문화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