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王維 詩意圖를 통해 본 朝鮮 文人들의 理想

원문정보

Wang Wei’s Poetry-based Paintings and the Utopian idea of Joseon Literati

왕유 시의도를 통해 본 조선 문인들의 이상

조인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oems of Wang Wei(699-759) of Tang Dynasty was used regularly as objects of poetry- based paintings in the Joseon period, 30 works of which remains until now. Especially, leading painters such as Yoon Du-seo(1668-1715), Chung Sun(1676-1759), Kang Se-whang(1713-1791), Shim Sa-jung(1707-1769), Kim Hong-do(1745-?), Lee Bang-un(1761-?) made their works using Wang’s poems as painting’s objects. It is interesting in that Wang’s poetry-based paintings mainly express utopian ideas of Joseon literati and the life and lyricism of hermits, contrary to poetry-based paintings of Tu Fu(712-770) which focus on the emotional feeling of nature and seasons. As Joseon literati passionately desire to see the superb scenery in China, the scenery had gradually become their ideal place, or utopia. of 《Album of Wonderful Ancient Stories》, Chung Sun’s , and Lee Bang-un’s 《Ten Views of the Wangchuan Villa》 are the paintings that show us how Joseon literati culturally accepted chinese real or ideal scenery as their utopia and that reveal standardized expression of ideal nature based on chinese scenery and poems. Yoon Du-seo’s represent the daily life which literati looked for using as painting’s objects Wang’s poem 「My Cottage at Deep South Mountain」, 「Joy in the countryside」, 「Living Lazily by the Wang River」, 「Written at Wang River Estate in the Rain」 etc. It would be the case that there were some influence on the paintings by Chinese pictorial books lik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ainting』. We can find out that Joseon literati pursued their utopia and hermit-like life through Wang’s poety-based paintings and it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their life and the nature of their aesthetic spirit.

한국어

唐代시인 왕유(699~759)의 시는 조선시대 시의도의 화제로 애용되어 현재 30여점의 작품 이 전하고 있다. 그가 隱逸했던 輞川에서 쓰여진 『輞川集』의 10편, 「終南別業」, 「田園樂」 등 의 시는 조선 초부터 그려져 감상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조선후기에 이르면 화가 윤두서 (1668~1715), 정선(1676~1759), 강세황(1713~1791), 심사정(1707~1769), 김홍도(1745~?), 이 방운(1761~?) 등의 작품에 화제가 되었다. 왕유 시의도는 산수 자연과 사계절의 정취를 표현 한 杜甫(712~770) 시의도와는 달리 문인들의 理想鄕과 理想像, 즉 중국 絶景에 대한 동경이 이상향으로 전환되어 추구된다는 점과 儒者의 이상상인 은일자의 삶과 서정을 표현한 것이 주를 이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왕유의 시 「도원행」과 『망천집』등은 ‘도원’이라는 관념적인 장소는 물론 ‘망천’이라는 중 국 실경에 이상향을 기탁해 지향한 조선 문인들의 문화적 수용과 조선 정착의 예를 보여준다. 따라서 《천고기관첩》의 <도원도>, 정선의 <초객초전>, 이방운의 <망천십경도> 등 시의도 는 중국 작품을 바탕으로 정형화된 산수 표현으로 이상향의 모습을 보여준다. 조선 문인들에게 은거지로 인식된 망천에서의 삶은 왕유의 시 「終南別業」, 「田園樂」, 「망 천한거」 등의 구절을 그린 시의도를 통해 이상적인 은일자의 삶이 묘사되었다. 윤두서의 <좌 간운기시>, 정선의 <좌간운기>, 김홍도의 <고사관수도>, <산거한담> 등은 왕유의 시구를 화 제로 하여 유학자가 지향하는 은거의 일상을 그린 시의도이다. 따라서 화면에서 인물의 표현 에 중점이 주어지고 이 과정에서 『개자원화전』과 같은 중국화보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조선시대 문인들은 王維 詩意圖를 통해 지향했던 理想鄕과 隱逸 추구의 理想像 을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理想鄕과 理想像의 추구
  1. 桃源과 輞川 - 이상향에 대한 동경
  2. 隱者의 삶 - 儒者의 지향
 Ⅲ. 화면 표현의 특징
  1. 정형화된 도상의 실경 산수 표현
  2. 중국화보의 영향과 인물 표현의 변화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인희 Cho In-Hee.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