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特輯論文 : 용성과 한암, 그 지성의 원류를 찾아서

한암의 계율인식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Hanam's adherence to Discipline

백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eals with Venerable Hanam's adherence to discipline, as based on the books ‘Original Hamam’s Ilballok’ and ‘Missing teacher Hanam monk’ in relation to Pāli's and Dharmagupta's Vinaya. For this, the paper is divided into two main parts, namely the paradigm of the recognition on the Discipline 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Discipline. The paper briefly deals with four necessities for monks(clothing, food, dwelling places, drug), heavy or light sins, and his rules on the temple. A venerable monk Hanam is dressed in a monk's normal garments without decoration and expensive clothes. Begging for alms, as Buddha’s time, he ate soup at breakfast, simple food at lunch and did not eat any food in the afternoon. He lived 27 years in the Sangweon Temple where he practiced Buddha's teaching. He stayed there during Korean War, protected in the temple despite the dangers of war. In that time he refrained from using honey or Jingseng for treatment of illness. He was celibate, did not steal, kill living beings, or deceive others by his enlightenment to obtain benefits and goods. He made every effort to protect from dividing Saṃgha. Doubtless, he was a good leader and keeper of Buddha's and temple's rules in such areas in which the rules are less clear, namely bathing, drinking alcohol and in the rules of a monk's basic activities. His recognised on the rules based on Buddha's teaching and discipline, and he adhered to Samgha’s Vinaya rules and Temple’s rules. He thought that disciplines taught by the buddha are necessary to develop Buddhist practice, purify his mind and attain Enlightenment. This Paper of Hanam’s Discipline illustrates that he was a model leader like Buddha for practitioners at that time. His monastic living according to Buddhist rules came from his good and true mind, practice, thinking of Samgha in harmony, compassion for living beings and Samgha's identity and the authority of Community. His disciplines and living according to buddha's rule came to set the tone for modern Korean monks' way living and buddhist rules.

한국어

본 논문은 『定本漢岩一鉢錄』과 『그리운 스승 한암스님』에 나타난 한암의 계율사상을 팔리(Pāli)율과 『四分律』과 비교하여 살펴본 것이다. 한암의 계율인식의 토대와 계율인식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의식주약, 무 거운 죄와 가벼운 죄에 대한 계, 선원규칙과 인식특징으로 구분하였다. Ⅱ.에서 본 바처럼 한암은 최소의 두타적 의생활, 아침에 죽과 점심에 밥, 오후에 불식의 식생활, 27년간의 한곳에의 수행생활, 병든 자신을 위해 특별한 약을 사용하지 않는 생활을 유지하였다. 그는 음도살망의 4바라이죄를 짓지 않았 고 승가유지를 위한 노력으로 전통적 계율을 지켰다. 또한 시주물의 소중함 과 생명사랑 등 가벼운 죄에 대한 계를 지키는 일도 굳건히 하였다. 그리고 7일마다 목욕을 하고, 음주에 엄격하며, 승가의 기본도덕과 품위의 유지에 앞장섰다. 한암은 선원규칙을 시대에 맞게 정해 실천했고 身口意三業을 절제하는 지계청정을 강조했고 독생활보다 승가공동체생활을 선호했다. 한암의 계율인 식은 붓다의 가르침에 바탕을 두고, 화합승가, 시대에 맞는 계율생활에서 비 롯된 것이다. 더불어 스스로 지율자, 율실천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계율이 수행에 필수조건임을 인식한 결과였다. 또한 이러한 그의 계율적 삶은 眞心 과 지계, 수행, 승가공동체의식과 자비심, 승가의 위상과 정체성에 기인한 것 이다. 그러므로 한암은 지계자, 지계아사리이자 삼학의 실천가이며, 현시대의 진정한 수도자로서 지계와 수행 모델을 제시하고 승가상의 토대를 굳건하게 한 고승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한암의 계율인식의 토대
  1. 의식주약에 관한 계율
  2. 무거운 죄와 가벼운 죄에 대한 계
 Ⅲ. 한암의 계율인식의 특징
  1. 선원규칙의 특징
  2. 계율인식의 특징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도수 Paek Do-su. 능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