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민의 안전행동 동인으로서 안전욕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Maslow의 욕구이론을 토대로 -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afety Needs as a Motivation of Citizen’s Safe Behavior - Based on Maslow’s Hierarchy Theory of 5 Basic Needs -

Jae Ho Se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irst responsibility of disaster prevention is citizens themselves, so citizens’ personal knowledge and behavior as to risk and safety is very important in disaster management. Because motivation theory says that safety needs is strongly related safe behavior, to promote safety in a society as a whole a study on the safety needs and safety behavior is inevitable.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surveyed citizens who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measured the important basic needs using Maslow’s hierarchy of 5 needs. The result showed that physiological needs was the most important needs among 5 basic needs and safety needs was the second important. People living in Busan considered belonging needs the most when they decide daily life. To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 of the safety needs this study built 3 regression model questingly. The result showed education, income, family size influenced on the citizen’s safety need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proposed several further research topics.

한국어

국가와 함께 재난과 사고발생의 책임은 ‘개인’에게도 있으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일선에 있는 관리자 또한 개인이기 때문에 개인의 안전 확보를 위한 안전지식의 습득과 안전행동은 매우 중요하다. 전통적인 동기이론에 따를 때 안전욕구가 안전행동의 동기와 관련된다. 사회의 안전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안전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욕구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배경 위에 이 논문은 Maslow의 욕구 5단계를 토대로 부산시민을 대상으로 시민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우리사회 시민의 안전욕구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산시민의 안전욕구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은 생리적 욕구 다음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에서 안전욕구의 반영은 사회적욕구 다음으로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욕구의 반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타 욕구요인, 문화와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사회경제적 요인에서는 학력, 수입, 가족의 규모가 정의 관계를, 욕구에서는 생리적 욕구와 사회적 욕구가, 문화 및 환경요인에서는 환경개선 필요성이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안전의 개념과 안전욕구
  1. 안전의 개념과 안전행동의 동기
  2. Maslow의 욕구이론과 안전욕구
 Ⅲ. 시민의 안전욕구와 안전행동의 유인
 Ⅳ. 지역사회 주민의 안전욕구 조사 및 분석결과
  1. 안전욕구 조사구조와 측정
  2. 안전욕구 조사대상 시민 확정
  3. 조사결과
 Ⅵ.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의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Jae Ho Seo 서재호.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Pukyung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