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동작관찰 디지털콘텐츠 활용교육과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의 융합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Convergency : Using Digital Contents Action Observation Educations and Task-Oriented Occupational Therapy o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김고운, 김태수, 오혜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ask-oriented occupational therapy without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nd action observation on hemiplegic patients'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ction observation) and a control group (task-oriented occupational therapy). They received the intervention five times per week, 30 minutes per each time, for five weeks. In order to look at upper extremity functions of the paretic sid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THFT) and Box and Bock Test (BBT) were conducted and in order to compa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Korean-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both groups increas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action observation and task-oriented occupational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한국어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동작관찰 디지털콘텐츠 활용교육과 동작관찰 없이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 를 실시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 상으로 무작위로 실험군(동작관찰)과 대조군(과제 지향적 작업치료)으로 각각 15명씩 나누어 1주일에 5회 총 30분씩 5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과 후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THFT)과 Box and Block Test (BBT)를 실시하였고, 일상생활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Korean-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를 실시하였다. 실시 결과 두 그룹 모두에서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은 증가하였고, 그룹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동작관찰 디지털콘텐츠 활용교육과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는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2.2 검사방법
  2.3 검사도구
  2.4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2 상지 기능의 변화
  3.3 일상생활동수행력의 점수 변화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고운 Ko-Un Kim.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작업치료 전공
  • 김태수 Tae-Sue Kim.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작업치료 전공
  • 오혜원 Hye-Won Oh.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