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computer based virtual reality on clinical rehabilitation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as the ICF categorizations. The papers used in this study were located through domestic data search engines. The fifteen studies were selected among the studies published between 1995 and 2014. The PEDro score was used for qualitative assessment. The sample size a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s of pre and post tests were analyzed through a meta-analysis. The PEDro scores of the selected studies were 6 points higher and 338 participants were involved. The effect size of combined data was 1.030,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1.120, sensory function 1.199 as indicated by a “large effect size” and the effect size of mental function was 0.557 as indicated by a “medium effect size.” As a result, virtual reality program as a adjunctive therapeutic methods has proven the effect. In particular, the effects were demonstrated in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sensory function. However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mental func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임상재활 현장에서 적용된 컴퓨터 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CF 분류 기준을 근거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논문 데이터베이스에서 1995년~2014년까지 게재된 연구들 중 15편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질적 평가는 PEDro score를 사용하였고 대상 논문들의 표본수와 사전-사후 평균, 표준 편차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선정된 연구는 PEDro score 6점 이상이었고 연구 대상자는 338명 이었다. 효과크기 분석 결과 분석대상의 통합된 효과크기는 1.030, ICF 분류의 활동과 참여 1.120, 감각기능 1.199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정신기능의 효과크기는 0.557로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임상재활 현장 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전통적인 재활 치료에 대한 대체 또는 보조적 치료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특히 ICF 분류의 활동과 참여, 신체기능의 감각기능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고 신체기능의 정신기능에 대한 효과는 통계적 근거가 미흡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3 대상 논문의 선정 기준
2.4 질적 메타분석 방법
2.5 계량적 메타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분석 대상 연구의 일반적 특성
3.2 계량적 메타분석 결과
4. 고찰
5.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