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전통시장 융합을 위한 지역 방송 프로그램 요인이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 광주방송<시장이 좋다>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Regional Broadcasting Program Factors Influence Public Relations for The Traditional Market Unity : Focused on <The Market is Good>

신일기, 최윤슬, 신현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identify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s Gwangju regional TV broadcasting company’s program, “I Like the Market” and the effect of market vitalization on the market merchants’ public relationships, this study carried out survey targeting 256 merchants who are residing at the region.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program and market vitalization via the program exert significant effect on the public relationships. Specifically,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program for the vitalization of regional broadcast exert effect in the following order; devotion, relationship and reliability. Meanwhile, market vitalization exert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reliability and devotion, in the order mentioned. This implies that the development of quality program for the regional residen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vergence of regional broadcast and in increasing broadcasting company’s brand image. Accordingly, positive interaction via regional vitalization when it comes to the formation of regional broadcast program going forth may be needed for regional broadcast policies.

한국어

지방자치제 시행과 함께 지역방송의 영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방송사는 본 연구는 광주지역방송사 프 로그램의 ‘시장이 좋다’의 만족도와 시장 활성화 여부가 시장 상인들의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 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상인들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만족도와 프로그램 을 통한 시장 활성화 여부는 모두 공중관계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역 방송 활성화 를 위한 프로그램 만족도는 헌신성, 관계성, 신뢰성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으며, 시장 활성화 여부는 관계성, 신 뢰성, 헌신성 순으로 모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주민을 위한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이 지역방송 융합과 함께 방송사 브랜드 이미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 후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역 방송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지역 활성화를 통한 긍정적 상호관계성이 지역방송 정책에 있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지역방송 활성화 프로그램의 정체성
  2.2 지역방송과 공중관계성
 3. 연구방법
  3.1 설문조사
  3.2 주요 변인의 측정
  3.3 자료의 분석
 4. 연구결과
  4.1 조사대상자의 특성
  4.2 요인분석 결과
  4.3 가설의 연구결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신일기 Il-Gi Shin. 인천가톨릭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 최윤슬 Yun-Seul Choi.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신현신 Hyun-Sin Shin. 가천대학교 언론영상광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