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life and struggle of the partisan commander ‘Lee Young-Hway'
초록
영어
The Yeosun Revolt and the 14th Army Regiment soldiers had a direct association with 'the Partisan's birth' of the South Region. While they were climbing Jiri Mountain (지리산), the partisan activities of the South Region began in earnest. However, there are no known partisan figures from 14th Army Regiment. While the Yeosun Revolt broke out, Kim Ji-Hway (김지회) & Hong Sun-Suk (홍순석) were arrested as “ring leaders” of the Army Forces. They and Ji Chang-Su (지창수),master sergeant since 1967, are well known. The 14th Army Regiment‘s magnitude was approximately 2000-2500 people. The soldiers climbing a mountain to join the 'uprising' were roughly 1,000 people. These partisans were active mainly in the whole of Jiri, Baegun (백운) and Deogu (덕유) Mountains of Jeonnam · Jeonbuk · Gyeongnam area from 1948 to 1955. In this article, Lee Young-Hway (이영회), the 57th Army Division commander, is examined in more detail. The reason why Lee Young-Hway deserved to be in the spotlight is that he was an outstanding partisan of the 14th Army Regiment. There is much written about him. In addition, there is written testimony by his family and hometown people. The salient features of Lee Young-Hway were independence and an autonomous struggle for partisans. He was condemned because of being self-righteous with low party loyalty. We cannot clearly explain why he struggled on his own. However, it seems to be true that he did not take a positive stance and cooperate with the South Korea Labor Party.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Lee Young-Hway started deploying the maneuver struggle. We cannot be conclude that this was followed by all partisan's of the 14th Army Regiment. As the forces of weakened, the struggle to survive was more like a supply struggle characteristic of guerrilla warfare. However, Lee Young-Hway insisted on starting the maneuver struggle. On November 27, 1953, due to the killing of Lee Young-Hway, Jiri Mountain's partisans entered a phase of extinction. The Partisan's 'Birth' in South Korea from the Yeosun Revolt disappeared as they were murdered. According to partisans Lee Young-Hway held a wildly partisan struggle from Jiri Mountain to the end is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한국어
남한지역의 ‘빨치산 탄생’에 직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는 여순사건 그리고 14연대 병사들. 이들이 지리산에 입산하면서 남한지역의 본격적인 빨치산 활동이 시작되었다. 그렇지만 14연대 출신 빨치산에 관해 알려진 인물이 없다. 여순사건이 발발하면서 ‘총지휘자’ 또는 ‘수괴’ 등으로 국군의 주요 검거 대상자였던 김지회와 홍순석. 그리고 1967년 이후 지창수 상사가 그나마 알려진 인물이다. 14연대는 대략 2,000~2,500명 정도 규모의 부대였다. 이 중 ‘봉기’에 합세하여 입산한 병사는 대략 1,000명 안팎으로 보인다. 이들 빨치산은 1948년에서부터 1955년까지 지리산․백운산․덕유산 등 전남․전북․경남 일대에서 주로 활동했다. 이 글에서는 57사단 또는 불꽃사단 사령관으로 널리 알려진 이영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영회를 주목한 것은 14연대 출신 빨치산 중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남한지역 빨치산의 탄생과 종막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그의 활동은 지리산 빨치산과 남로당과의 관계를 조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영회의 빨치산 활동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독자적․자생적 투쟁을 했다는 것이다. 이영회가 독선적이며 당의 충성심이 부족하다는 지탄을 받으면서도 독자적으로 투쟁을 고집했던 것을 명확하게 해명할 수 없다. 다만, 이영회가 남로당에 적극적인 자세나 협력을 취하지 않았던 것만은 사실로 보인다. 또 하나의 특징은 14연대 출신 모든 빨치산의 특징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이영회는 기동투쟁을 전개했다는 것이다. 세력이 약화할수록 보급투쟁 등 소규모 투쟁으로 생존 방법을 찾는 것이 게릴라전의 특성이지만 이영회는 기동투쟁을 고집했다. 1953년 11월 27일 이영회의 사살로 인하여 지리산 빨치산은 소멸의 단계로 접어들었다. 여순사건으로 시작된 남한지역 빨치산의 ‘탄생’은 이들이 사살되면서 ‘소멸’하였다. 그중에 이영회는 지리산에서 최후까지 격렬하게 투쟁한 빨치산이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데 이 글의 의의가 있다.
목차
Ⅱ. 지리산 입산과 경남 인민유격대
Ⅲ. 57사단 사령관 이영회의 기동투쟁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