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 여순사건과 지리산 빨치산

14연대 반군의 지리산을 향한 진군

원문정보

March of Solidarity 14 Rebel Army to Mt. Jiri

최선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ooks about Yosun Revolt mostly describe that rebel army divided march to western Bosung, Beolgyo, eastern Gwangyang, northern Gurye, and Namwon by dividing the army after occupying Yeosu and Suncheon. The origin of this description began from a report of the army and police that suppressed Yosun Revolt. However, this was the army's arbitrary judgment that analogized the course by seeing the rebel's movement rather than based on concrete data. The goal of solidarity 14 rebel army was to develop long-term armed struggle by making guerrilla base by entering into Mt. Jiri within the shortest time. Solidarity 14 rebel army transferred train at Suncheon Station after starting for Suncheon by commanding a commuter train at around 4 a.m. as soon as disarming Yeosu police force at around 3~3:30 a.m. by seizing solidarity on the night of the 19th, and at 9 in the morning collapsed police force at around 3 p.m. after a battle with police, etc. that began at around 9 a.m. nearby Eastern Suncheon Station. After arranging the unit, on that evening again went north by train and encountered the suppressive army at Hakgu at 19:45. While proceeding small battle and psychological warfare against the suppressive army, main force of rebel escaped from Suncheon and moved to Gwangyang on the night of the 21st. The rebel chose a route to enter into Mt. Jiri by crossing Seomjin River through Mt. Baegun via Gwangyang, giving up a plan to enter into Mt. Jiri through the shortest distance straight line course of Yeosu-Suncheon-Gurye. On the night of October 24, remaining rebel army in Yeosu also came over to Mt. Jiri via Mt. Baegun. This means that the rebel had no purpose to permanently dominate Yeosu as well as Suncheon from the beginning. Main force of rebel intended to enter into Mt. Jiri through Gurye via Suncheon as fast as possible, remaining troops in Yeosu seemed that they intended to enter into Mt. Jiri following after the main force after preparing goods for mountaineering.

한국어

여순사건을 다룬 저서에서는 대부분 반군이 여수와 순천을 점령한 이후 부대를 나누어 서쪽의 보성, 벌교 방면, 동쪽의 광양 방면, 북쪽의 구례, 남원 방면으로 분진한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런 서술의 시원은 여순사건을 진압한 군과 경찰의 기록에서 반군이 광양, 구례, 남원 등 지리산을 감아 돌거나 서쪽의 보성, 광주를 경유해 북상하는 두 가지 방향으로 진출하고 있다는 보고에서 기원한다. 하지만 이는 구체적인 자료에 근거했다기보다는 반군의 동향을 보고 진로를 유추한 진압군측의 자의적인 판단이었다. 14연대 반군의 목표는 가장 빠른 시간 안에 지리산으로 입산해 유격 근거지를 만들어 장기적인 무장투쟁을 전개하는 것이었다. 이는 곧 반군이 순천은 물론이고 여수를 영구히 장악할 목적은 애초에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군의 주력은 가능한 빨리 순천을 거쳐 구례를 통해 지리산에 입산하고자 했고, 여수에 남은 병력은 입산을 위한 물품을 준비한 뒤 주력을 뒤따라 지리산으로 입산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14연대 반군은 19일 밤 연대를 장악하고 20일 새벽 3시~3시 30분경 여수경찰력을 무력화시키자마자 4시경 통근열차를 징발하여 순천으로 향발한 후 순천역에서 열차를 갈아타고 오전 9시경 동순천역 부근에서 경찰 등과 교전을 벌여 오후 3시경 순천의 경찰력을 와해시켰다. 부대를 정비한 후 그날 저녁 다시 열차로 북상하여 19시 45분 학구에서 진압군과 조우했다. 진압군과 대치하며 소규모 교전과 심리전을 진행하다가 21일 밤 반군 주력은 순천을 탈출하여 광양으로 이동했다. 여수-순천-구례로 가는 최단거리 직선코스로 지리산에 입산하려는 계획을 포기하고 광양으로 우회해 백운산을 통해 섬진강을 건너 지리산으로 입산하는 경로를 택했다. 10월 24일 밤에는 여수에 남아있던 반군 또한 백운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합류했다.

목차

Ⅰ. 서론
 Ⅱ. 반군의 진로 검토
  1. 三分北進說
  2. 초기 군경의 二分北進說
 Ⅲ. 반군의 목표 : 지리산유격구 창설
 Ⅳ. 지리산 입산 투쟁
  1. 지리산을 향한 진격
  2. 백운산으로 우회 입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선웅 Choi, Sun-woong.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