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문학>

한국 현대시 이미지론 재고

원문정보

A Review of Modern Korean Poetry’s Theories of Image

최석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mage in modern poetry must overcome romanticism, which reveals a poet’s naked emotions and feelings, and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reation of modern poetry thanks to E. Pound’s theory of image. However, in light of the advanced introduction of A. Lowell’s later image theory, modern Korean poetry clings to “pictorial incl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image has sometimes moved into surrealism, and then, it appeared to lose its language. This phenomenon has led to the analysis of poetic images utilizing the terminology of photography or painting, or using general image theories indiscriminately, thus making the definition of poetic images ambiguous. In addition,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origin of imag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xisting classification of images occurs on very different strata. For the poetic image, it is important that, unlike a general definition or an artistic image, it have a language and is formed in the structure of rhythm and poetry. When the image is newly classified by the course of poetic creation or poetic components, it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a language image, a rhythmic image, and a structural image. Existing symbolic images play a crucial role in interpreting poems according to “an image group” or in understanding a poet’s thought, but they also become stereotypes and dead metaphors. In this vein, a poet always needs to have a novel imagination. However, imagination is not the exclusive property of a primary agent of poetic creation. A reader of poems perceives or creates a new reality through imagination. At this point in time, the main agent of imagination changes. In addition, when the image is meant to reveal not a poet’s theme or thought but the inherent nature of reality or objects, it is not subordinated to main agents, objects, or an existing idea or meaning. In this procedure, the image created between poets and readers is not confined or fixed to anything, but has its own creativity. This phenomenon rejects fixed ideas, approaches the true nature of essences, and forms a new image within a structure.

한국어

이미지는 자신의 감정이나 정서를 그대로 드러내는 낭만주의를 극복하고자 한 것으로 파운드의 이미지론에 힘입어 현대시의 중요한 창작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한국 현대시에서는 로우웰의 후기 이미지론이 먼저 이입되어 ‘회화성’에 고착되는 양상을 보인다. 한편으로는 이미지가 초현실주의와 맞물려 언어를 잃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시의 이미지 분석에 있어 사진이나 회화의 용어를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이미지론을 구별 없이 사용하기도 하여 시적 이미지의 정의를 모호하게 하였다. 기존의 이미지 분류 또한 이미지의 발생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매우 다른 층위에 있음이 확인된다. 시적 이미지에서 중요한 것은 시의 이미지가 일반적인 정의나 예술의 이미지와 달리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리듬과 시의 구조 안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시의 발생 과정이나 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의해 이미지를 새롭게 분류하면 이미지는 크게 언어 이미지, 리듬 이미지, 구조 이미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상징 이미지는 ‘이미지군’으로 시를 해석하고 시인의 사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것은 오히려 고정화되어 죽은 은유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시인은 늘 새로운 상상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상상력은 단지 시를 창작하는 일차적인 주체에게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시를 읽는 독자는 상상력을 통해 새로운 현실을 인지하거나 만들어내며 이때 상상력의 주체는 이동한다. 또한 이미지가 시인의 주제나 사상을 드러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현실이나 대상의 본질을 드러내고자 할 때, 주체나 대상, 혹은 기존의 관념이나 의미에 종속되지 않는다. 이 과정에서 시인과 독자사이에서 생성된 이미지는 그 어느 것에도 한정되거나 고정화되지 않고 스스로 창조성을 가진다. 이것은 고정화된 관념을 거부하고 본질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미지를 구조 안에서 새롭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이미지와 이미지즘
 2. 이미지 분류와 발생 과정
 3. ‘시적 이미지’ 방법론
 4. 상상의 유기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석화 Choi, Seok-hwa. 중앙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