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문학>

근대 계몽기의 동물 서사 양상 연구 - 안국선의 『금수회의록』과 양계초의 「동물담」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spects of Animal Narrativ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Focusing on The Animals’ Congress and The Story of Animals -

최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aims to study the aspects of animal narrativ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y analyzing Ahn Kuk-sun’s The Animals’ Congress and Liang Chi-Chao’s The Story of Animals. The author also investigated the research history of The Animals’ Congress and revised the Korean translations of The Story of Animal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Collected Works from the Ice-Drinker's Studio, which included The Story of Animals, was placed on the index of forbidden books. Similarly, The Animals’ Congress, which adapted a Japanese novel to Korean, was banne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this light, this essay compares the two works. The Animals’ Congress and The Story of Animals have been widely popular with readers, despite originating in Japan and China respectively. The Animals’ Congress has long been considered an example of the Korean novel in the traditional style, as evidenced by the animals in the Mongyu and Pansori narration. Meanwhile, however, it also has modern characteristics: speech style, editorializing by the writer, and a Christian mission. The Story of Animals, for its part, focuses primarily on the endangerment of animals as a result of modernization, awakening readers to this issue. The Animals’ Congress criticizes human morality and advertised Christian. The majority of the narrator’s works are Christian in tone, reflecting Ahn Kuk-sun’s personal religious values. While the Pansori narration has a satirical effect, the author’s negative views on the development of modernization, following those in the original work, give it a sincere moral program. The Story of Animals is concerned with international animals and provides reliable evidence that they are in danger. The whale thinks of itself as king of sea; the blind fish are in danger of going extinct; the undefended sheep face death by machine. Through the plights of these animals, the crisis in China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industry, science, and technology is vividly revealed. By contrast, the sleeping lion has been a typical simile, and a hot area of research,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consciousness. Liang Chi-Chao introduced modernization as a literary topic with an animal narrative, and advocated the awakening of the national spirit in a much more roundabout way. On the whole, Ahn Kuk-sun’s adapted novel, The Animals’ Congress does not clearly show much influence from The Story of Animals. This conclusion is mainly based on the lack of depiction of national salvation or of a powerful national logic. The outstanding feature of animal narrative works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is that they contain the writers’ perspectives on the crisis of the nation-state and tradition-outside culture. This is an effective way to spread stories on sensitive topics involving current affairs to a broad audience in a roundabout but still interesting way.

한국어

본고는 안국선의 『금수회의록』과 양계초의 「동물담」을 중심으로 근대적 사유와 동물이 결합된 근대 계몽기의 동물 서사 양상 연구를 목표로 하였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금수회의록』관련 연구사를 정리하고 「동물담」의 번역문을 재점검하고 작품을 분석하였다. 특히 「동물담」이 수록된 『음빙실문집』과 일본 작품을 번안한 『금수회의록』이 일제 시기 금서로 지정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금수회의록』번안 과정에서의 「동물담」과의 영향 관계를 주목하였다. 『금수회의록』과 「동물담」은 일본과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서사임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독자들의 인기를 얻었다. 특히 『금수회의록』은 오랫동안 한국 작품으로 인식되어왔는데 동물 집회, 몽유록 등 전통적인 문학 양식과 판소리 사설은 친근하게 받아들여졌으며 연설 양식과 저자의 논설 개입, 기독교로의 권면 등은 근대적인 의미를 보여주었다. 「동물담」은 근대화 발전에 의하여 동물이 처하게 된 생존 위기를 다루었는데 이를 통하여 시급히 국가존망의 위기의식을 느끼고 각성할 것을 호소하였다. 『금수회의록』은 주로 인간의 윤리도덕을 비판하면서 기독교를 권면하였다. 서술적 화자가 직접적으로 개입하기도 하는 논설 부분은 주로 기독교로의 개종을 권장하는데 이는 안국선 개인의 종교관에서 비롯되었다. 판소리 사설은 풍자성과 흥미성을 강조하였지만 원작을 따른 근대문명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은 당시 망국 위기의 현실과는 괴리감을 조성하였다. 「동물담」은 국제적인 공간에 있는 동물을 다루면서 서사의 신빙성을 제공하였다. 아직도 바다의 왕인 줄 아는 고래, 멸종 위기에 처한 눈 먼 고기, 기계화 생산에 의한 죽음을 앞둔 무방비 상태의 양은 생산력과 과학기술의 발전이 초래하는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위기 상황을 생동감 있게 보여주었다. 죽은 듯이 잠 자는 사자는 새로운 기계로 바뀌면 깨어날 수 있다는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었기에 전형적인 비유가 되었고 이 부분의 텍스트는 연구 쟁점이 되었다. 양계초는 동물 서사를 이용하여 보다 우회적으로 근대화 문명을 소개하였으며 자국의 각성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안국선이 『금수회의록』을 번안하는 과정에서 양계초 특히 「동물담」의 영향을 받은 부분을 찾아보기 힘들다고 주장하는 바 그 주요근거는 구국ㆍ강국 논리의 부족함이다. 근대 계몽기의 동물 서사는 기존의 우의적 수법을 통한 교훈이나 풍자보다는 나라와 민족적 위기, 전통과 외래문명의 혼란 등 당면 상황에 대한 개별 저자의 입장이 보태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민감한 시사를 우회적이고도 흥미롭게 대중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데 있어서 자고로 친숙해왔던 우의적 수법을 이용하는 것은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금수회의록』과  「동물담」의 기본 서사 양상
  2.1 동물 연설과 판소리 사설 -『금수회의록』
  2.2 동물의 생존 위기와 근대 문명 - 「동물담」
 3. 동물 서사의 근대적 특성
  3.1 작품 배경과 서사 공간
  3.2 풍자와 비판의 대상
  3.3 서술적 화자와 저자
  3.4 근대 문명에 대한 태도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나 Cui, Na.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