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청년들이 살아갈 생태환경 기획하기

원문정보

Planning Ecological Environment for Young People

윤용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se days, our young people are living without love, marriage, childbirth, hopes and dreams. Korea has pursued a growth and development policy for the past 50 years. As a result, the country's economy which was one of the world's poorest countries has reached the world top 10. However, pillars of our country's economy based upon development and growth have revealed their limitations. We are facing the economic crisis caused by the income polarization, the ecological crisis triggered by excessive development, and the community crisis generated by extreme selfishness. If the economy is ignoring the limits of nature, or seeks only the extreme profits and efficiency, it will not be sustainable. It makes workers and consumers disappear, and the energy and resources exhausted. Thus, in oder for human race to continue to reside in this world, the consumption in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should be reduced significantly, and the progress in developing countries should be made fairly. Also the social class accustomed to over-consumption need to pursue de-abundance, and citizens and farmers must move to a shared economic system in which automotive and farm equipments are utilized mutually or collectively. Toda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the neoliberal economic system make it difficult to find jobs. The severe polarization has increased the poorest regions and layers. In the meantime, local currency without cash can trade goods and services; also it can activate the economy by promoting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region; it can bring about new businesses and jobs, and save the environment and the economy by making deals with the defective products and the used goods. When the energy and the resources are limited, the goal of economy should be not growth but maturity. To realize a mature society, we should dispense with formalities, and reduce over-consumption in everyday life. What we call “the filling economy” emphasizes the utility of the existence, rapidness, and artifact, whereas “the emptying economy” stresses the utility of the non-existence, slowness, and nature. We must proceed from “the filling economy” to “the emptying economy”. It is a way of saving the planet as well as getting the road to happiness.

한국어

오늘날 우리 청년들이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집과 인간관계, 심지어는 꿈과 희망마저 포기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50여년 동안 개발과 성장정책을 추구한 결과, 세계 최빈국이었던 경제규모가 세계 10위권에 이르렀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었던 개발과 성장은 그 한계를 드러내면서 소득 양극화로 인한 경제위기, 개발논리에 의한 생태위기, 극단적 이기주의로 말미암은 공동체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자연의 한계를 무시하거나 극단적 이윤과 효율성만을 추구하는 경제는 에너지와 자원을 고갈시킬 뿐만 아니라 노동자와 소비자를 사라지게 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인류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산업선진국에서는 소비를 대폭 줄이고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은 적정 발전을 이뤄져야 한다. 그리고 과소비에 익숙한 계층에서는 탈풍요가 요구되고, 시민과 농민들은 자동차와 농기구 등을 함께 사용하는 공유경제로 나아가야 한다. 오늘날 과학기술 발달과 신자유주의 체제로 일자리를 찾기가 어려워지고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돈이 부족한 지역과 계층이 늘어나고 있다. 현금 없이도 거래가 가능한 지역통화는 지역의 생산과 소비를 촉진시켜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새로운 사업과 일자리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그동안 폐기처분되던 파치와 중고품도 거래하게 함으로써 환경과 경제를 동시에 살릴 수 있다. 제한된 에너지와 자원을 고려할 때 우리 경제의 목표는 성장 대신에 성숙이라야 한다. 성숙한 사회로 나아가려면 우선 일상적 삶에서 허례허식과 과소비를 줄이고, ‘있음, 빠름, 일’ 등의 효용성을 강조하는 ‘채움경제’에서 ‘없음, 느림, 쉼’ 등의 효용성을 강조하는 ‘비움경제’로 나아가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행복으로 가는 길이면서 동시에 지구를 살리는 길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1) 경제기적은 이뤘지만 행복을 잃은 나라
  2) 성장의 한계
  3) 불편한 진실
 2. 불편한 현재
 3. 매우 불편한 미래
  1) 인구구조 변화
  2) 기후변화
 4. 대안을 찾아서
  1) 재생에너지로 전환
  2) 일자리 나누기
 5. 행복한 생태사회 설계
  1) 탈풍요와 공유경제
  2) 폐기물 자원화
  3) 지역통화
  4) 채움경제에서 비움경제로
 6.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윤용택 Yoon, Yong-Taek. 제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