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찰교육의 효과성 측정지표 개발과 적용 - 경정·경감 기본교육과정의 현업적용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Police Education and Training : Focusing on the Learning Transfer

문경환, 민경석, 최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dicators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e education and job training, in terms of learning transfer. Theoretically measurement indicators were based on Kirkpatrick’s model that included evaluations of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s, and elaborated by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Finally the indicators to measure learning transfer of police training included 3 domains (reaction, learning and behavior) and 42 items. In order to validate the indicator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415 superintendents and senior inspectors who completed the basic training program. Survey results showed that reliability, in terms of Cronbach’s alpha, was high enough around 0.90s. Also factor analysis empirically confirmed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among domains and items. When the indicators would be applied for various police job training programs, some cau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ollowing. First, clear educational goals of training needed to be set. Second, indicators of‘result stage’had to be specified to evaluate organizational outcomes obtained from training. Third, it was needed to pre-plan the evaluation process embedded in training program, and to separate operation and evaluation agents for objective program evalu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경찰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찰직무교육 가운데 경찰대학에서 운영 중인 경정․경감 기본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대표적인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평가 모형이라 할 수 있는 Kirkpatrick 모형을 기초로 하여 교육과정 이수자 및 운영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와 선행연구의 측정지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경찰 직무교육과정에 적합한 효과성 측정지표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경정․경감 기본교육과정 이수자 415명을 대상으로 전자메일 및 방문조사 방식으로 설문분석을 통해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교육의 효과성 측정은 Kirkpatrick의 <반응-학습-행동-결과>의 4단계 평가모형 가운데 결과평가를 제외하고 반응, 학습, 행동평가를 측정하였다. 반응평가 지표로는 교육목표와 교육프로그램(교육설계, 컨텐츠), 교육방법(강의자, 강의방법, 평가방법), 교육환경을 포함시켰고, 학습평가 지표는 학습의 세 가지 결과라 할 수 있는 지식, 기능, 태도로 나누었으며, 행동평가는 개인전이 효과와 조직전이 효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지표의 신뢰도는 하위 지표인 교육목표와 강의방법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0.90 내외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적합도 역시 대부분 0.9 이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중간관리자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는 경정․경감 기본교육과정을 토대로 도출된 측정지표인 만큼 경찰 각 기능별 직무교육과정에까지 동일하게 적용하기에는 교육과목 및 교육목표 등에 있어서 다소간 차이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나 교육프로그램 설계나 교육환경, 강의자 구성 등은 물론 학습평가 및 행동평가 단계에 있어서는 대체로 공통적인 요소들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향후 몇 가지 정책적 개선을 통해 확대 적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이를 위한 제안 사항으로는 첫째, 교육목표 및 이에 따른 중점교육방향의 명확화, 둘째, 반응, 학습, 행동 평가 외에 결과평가에 대한 추가 지표 개발, 셋째, 직무교육에 대한 평가절차의 체계적 설계, 넷째, 직무교육 운영주체와 평가주체의 구분 등을 들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경찰 직무교육과정의 현업적용도 평가 모형
 III. 경찰 직무교육 효과성 평가
 IV. 교육효과성 측정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경환 Moon, Kyeong-Hwan. 경찰대학교 경찰학과 교수.
  • 민경석 Min, Kyung-Seok. 세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최대현 Choe, Dae-Hyun. 건국대학교 경찰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