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동포의 대이주 현황과 바람직한 지원 방안

원문정보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Chineses massive Migration and Desirable Support Plan

조형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n 1978, Korean-Chineses has undergone severe ordeals owing to Mass-migration. They had to migrated to overseas, Korea, domestic coast cities, etc., to cope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y are presently leading very painful lives because of enormous burden to adapt themselves to new surroundings, like possibility of dismantlement of their community and uncertain future. But, Korean government didn’t fully pay attention to Mass-migration, consequently Korean-Chineses couldn’t get enough assistance from Korea. This study includes general situation of Mass-migration,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press, OKF(Overseas Koreans Foundation)'s action to Mass-migration, Korean-Chineses’ recognition about Mass-migration and their futur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leading Korean-Chineses in education and press were positive about the actions of Korean-Chineses during the Mass-migration period and the possibility of new Korean-Chineses town development. But the Korean-Chineses’ social environment is getting aggravated. Though Korean-Chineses show positive review and outlook, the future of Korean-Chineses who long for new and stable settlement remains uncertain. That’s why Korea’s more active support is needed now. There might be several desirable plans to support them. Those could be Korea’s clearer understanding of situation of Korean-Chineses, investment intensification for education and young Korean-Chineses, strengthening to network with Korean-Chineses.

한국어

1978년 중국의 개혁ㆍ개방 이후 불어 닥친 산업화와 도시화로 중국동포들은 1990년대이후 국외로, 한국으로, 국내의 연해지역으로, 국내 대도시로 대이주하는 극심한 시련을겪고 있다. 중국동포들은 공동체의 해체 가능성,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 속에서 고통스러운삶을 살고 있다. 그러나 대이주는 한국에서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중국동포들은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동포 지원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대이주의 일반 현황 및 이주에 따른 교육현황, 언론현황, 재외동포재단의 대응 현황을 점검ㆍ진단하고, 대이주에 대한 동포들의 대응과 향후 미래에 대한 중국동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사연구 대상그룹인 중국동포 전문가들은 대이주에 대한 동포들의 대응은잘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동포들의 신집거지 형성 가능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조선족학교와 교사들이 지난 10년 동안 절반수준으로 줄고, 동포언론의 영향력은 크게 떨어지는 등 교육과 언론환경은 매우 열악해졌다. 전체적으로 전문가들의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중국동포사회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새 틀 형성 가능성은 매우불투명했다. 한국이 더욱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이유이다. 새 틀 마련을지원하는 방안으로는 중국동포의 현실에 대한 한국의 명확한 인식, 교육투자 강화, 차세대중국동포의 한국체험 파격적 확대, 중국동포단체 및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강화, 한국 내 중국동포 정착 지원 강화 등이다.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1.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2. 연구분석틀
  3. 선행연구 분석
  4. 연구의 제한성
 Ⅲ. 연구결과 분석
  1. 대이주 현황
  2. 대이주에 대한 중국동포의 인식
  3. 재외동포재단의 대응
 Ⅳ.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2.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형재 Hyung Jae Jo. 재외동포재단 검사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