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洪仁祐의 <關東錄>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Consideration of <KwanDongRok> by Hong In Woo

홍인우의 <관동록>에 대한 고찰

정지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 written by Hong In Woo. This book was written after trip to mt. Gumkang And Dong Hae Ocean. There was article of Toi Gye and Yul Gok and many ethic students remind it. But through whole pages, there are only some parts of Gum Kang mt. Therefore this article was considered in making back ground, reason of trip and His thought of mountains and waters with[Hong Eung Gil Sang Sa Yu Geum Gang San Lok Suh] by Toi Gye, [YuPungAkRokBal] by YulGok. Hong In woo(1515-1554). His adult nick name was EungGil, and nickname was Chi Jae. 1537, He passed Samasi. But He put his heart to study not authority. October, 1553, His father died and then 1554, He was dead in 40 age. When He was 39age, He tripped inner mountain of GumKang mt. from April 9th. to May 20th. for about 40days with Huh, Kuk Sun and Nam Shi Boh. was written of triping Kwandong from April 7th. 1553 to May 20th. in form of diary. Special things are description of local position not complex but detail and humanoid expression and description not vain but beautiful. Yul Gok prefer it ‘not complex but detail, not vain but beautiful’ in [YuPungAkRokBal].Chi Jae’s Recording of Mounts and waters was good file for people who prepare Kwan Dong Trip and who cannot trip by describing beautiful scenery of Mounts and waters. While tripping, Chi Jae did not forget the space of tripping mountain and water is the space of mind control, sharing thought with Huh, Kuk Sun and Nam Shi Boh. In the night, developing the bright spirit of night, to restore heavenly purity by removing physical desire, he took tripping as the method ‘finding knowledge by touching material’ and took mt. and water as the place self smelting. About this fact, Toi Gye mentioned, Chi Jae found methods watching abstruseness covering mountains and waters in [YuGeumGangSanLokSuh]. Yul Gok acknowledge Chi Jae’s ethical view of mountain and water, mentioning ‘If we don’t find ethical nature body of mounts an waters not taking beauty, studying mounts and waters would not precious. How can Hong Jang’s desire stay here? in [YuPhungAkRokBal]

한국어

이 글은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가 허국선(許國善), 남언경(南彥經) 등과 함께 40여 일간 금강산과 동해 안 일대를 유람하고 쓴 <관동록(關東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관동록>은 퇴계와 율곡의 발문이 함께 실 려 있어 많은 선비들이 전하여 외웠다고 하나 금강산 관련 논문이나 단행본에 소략히 언급 되었을 뿐 작품 전체를 논한 것이 없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관동록>의 창작 배경 및 유람 동기와 서술 방식, 치재의 산 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퇴계의 <유금강산록서>, 율곡의 <유풍악록발>등 관련된 자료와 아울러 고찰해 보았다. 홍인우(1515-1554)는 자가 응길(應吉)이고, 호는 치재(耻齋)이다. 1537년에 사마시에 응시하여 합격 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1553년 10월에 부친의 상을 치르다가 몸이 상하여 1554년에 40세로 별세하였다. 치재는 39세 때, 1553년 4월 9일부터 5월 20일까지 40여 일간 허국선, 남시보 등과 함께 금강산의 내산을 주로 유람하고 5월 27일에 <관동록>을 저술하였다. <관동록>은 관동을 유람한 1553년 4월 7일부터 5월 20일까지 일기체의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고, 상세하면서도 번잡하지 않은 지리적 위치의 묘사와 활유적 표현으로 화려하면서도 과장되지 않은 묘사가 특징으로, 이를 가리켜 율곡은 <유풍 악록발>에서 ‘詳而不繁’, ‘麗而不誇’라 하였다. 치재의 산수에 대한 기록의식은 관동 유람을 준비하는 사람 들에게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산수의 아름다운 경치를 생생하게 묘사하여 유람 을 직접 실행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臥遊의 자료가 될 수 있게 하였다. 치재는 유람을 하는 동안에도 허국 선, 남시보와 더불어 토론하며 산수 유람의 공간이 심성 수양의 장소임을 잊지 않았고, 고요한 밤에는 밤의 밝고 밝은 기상을 길러 인욕을 제거하여 하늘의 순수를 회복하고자 하여 산수 유람을 격물치지의 수단으로 삼고 산수를 修己의 장소로 삼았다. 이에 대해 퇴계는 <유금강산록서>에서 치재가 “산에 노니는 오묘함과 물을 구경하는 기술을 깨달았다”라고 하였으며, 율곡은 <유풍악록발>에서 “다만 산수의 취미를 알 뿐이고 도체를 알지 못하면 또한 산수를 아는 것이 귀중할 것은 없으니, 홍장의 앎이 어찌 여기에 그치겠는가.”라고 하여 치재의 도학적 산수관을 인정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관동록>의 창작 배경 및 유람 동기
 3. <관동록>의 서술 방식
 4. 작가 의식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지아 Jung, ji-ah. 경북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