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세기 이전 시편 번역과 해석의 역사

원문정보

History of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Psalms in China and Korea up to the Year 1900

정중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ace and illuminate the specific phenomenon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Psalms up to the year 1900. Chinese translation of the Psalms can be found as the Nestorian Dahae-seonwang-gyung(多惠聖王經) and the Mongol Empire era Seongyoung(聖詠). In the early 17th century, Giin-sippyeon(畸人十篇) written by Matteo Ricci, Chilgeuk(七克), and Youngeon-yeojak(靈言蠡勺) contained the Psalms. The Psalm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in Seongyoung-sokhae(聖詠續解) and Dalmee-seongyoung(達味聖詠) and they supposedly came to Korea before the year 1800. Along with those books the Cheonju-seonggyo-ilgwa(天主聖敎日課), Sujin-ilgwa(袖珍日課), and Cheonju-gyeonggwa(天主經課) also contained the Psalms.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entire Old Testament, including the Psalms, was translated into Chinese and was brought to Korea intermittently. Korean translations of the Psalms were found in 1801, which was at the time of the Sinyou-persecution. They are the Seonggyung-jikhae, Sujin-ilgwa, Hyangsu-bobon-myungseong(向 Jesus 報本聖詠誦), Hyangrye-ju-syeongyoungsong(向 Jesus 聖詠誦), and Tyonju-seonggyo-ilgwa. Importantly The Psal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s Yeondo(煉禱) prayer and used in the funeral rites in the 1800s. The Psalms 24, 51, 113, 119, 130, 148, 149, 150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the woodblock book Tyeonjyu-syeonggyo-ryegyu (天主聖禮規) in 1865. The Psalms 51 and 130 were also translated in Tyeonjyu-syeonggyo-gonggwa. The Psalms were adapted into prayer with the partial commentary. For the Yeondo(煉禱) prayer, the Psalms contain the musical and ritual elements in abundance, since several Christians used the Yeondo(煉禱) prayer in funeral processions and when they wanted to pray in unison throughout the night. Finally, some of the Psalms were translated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Miimi-gyohoe-gangrye, Uigyung-mundab, Wi-wonib-gyoin-gyudo, and Chosun- Christian-journal. Sixty-two of the Psalms had been translated in Sipyun-chwalyo.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1900년 이전 시편이 어떻게 번역되었고 해석되었는지 그 특수한 현상을 추적하여 밝히려는 것이다. 한문으로 번역된 시편은 경교의 多惠聖王經(다혜성왕경), 몽골제국 시대의 聖詠(성영), 17세기 초 마테오 리치의 「畸人十篇(기인십편)」, 「七克(칠극)」, 「靈言蠡勺(영언여작)」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한문으로 번역되었고 18세기 이전에 한국에 들어왔을 것으로 짐작되는 한문 시편은 「聖詠續解(성영속해)」와 「達味聖詠(달미성영)」이었으며, 시편이 교리서에 포함된 것으로는 「天主聖敎日課(천주성교일과)」, 「袖珍日課(수진일과)」, 「天主經課(천주경과)」 등이다. 19세기에는 본격적으로 시편을 포함한 구약 전체가 한문으로 번역되어 간헐적이지만 한국에 들어와서 영향을 미쳤다. 한글로 시편이 번역된 것은 1801년 신유박해 때 발견되었는데 「셩경직」, 「수진일과」, 「향슈보본명셩(向예슈報本聖詠誦)」, 「향례주셩영송(向예슈聖詠誦)」, 「텬쥬셩교일과」 등이다. 중요한 것은 1800년대에 시편이 연도(煉禱) 기도문으로 한글로 번역되어 장례예식에 활용되었다는 사실이다. 「텬쥬셩교례규(天主聖敎禮規)」에 시편 24, 51, 113, 119, 130, 148, 149, 150편 등이 번역되어 1865년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고, 「텬쥬성교공과」에도 시편 130편과 51편이 번역되었다. 이 시편들은 기도로 번역되었으며 부분적이지만 해설도 첨부되어 있었다. 연도 기도문의 경우 여러 성도들이 밤을 새우면서, 혹은 장례행렬 가운데서 한 목소리로 기도를 드리는 것이기에 음악적인 요소와 예식적인 요소가 풍부히 들어있다. 그리고 19세기 말에 시편이 부분적으로 번역된 예는 「미이미교회강례」, 「의경문답(義經問答)」, 「위원입교인규됴(爲願入敎人規條)」, 「죠션크리스도인회보」 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 「시편촬요」에는 62편이 번역되었다.

목차

1. 서론
 2. 한문으로 번역된 시편
 3. 한글로 번역된 시편
 4. 「텬쥬셩교례규(天主聖敎禮規)」의 시편 기도문
 5. 1800년대 말 시편 번역과 해석
 6. 결론
 7.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중호 Joong Ho Chong. 계명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