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인 탄원시에 나타나는 유일신 개념과 신정론 : 시편 4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odicy and Monotheism Appearing in Individual Lament Psalms : Centered on Psalm 4

이일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itz im Leben“ of the individual lament psalm 4 is the situation of the dispute of the israel community over the understanding of god. The enemies appearing in the text are the „sons of men“ and „many men“. These men are associated with the suffering and are disputing with the poet over their different understandings of god. These men have an authenticity of establishing interrelationships and simultaneously are using their understanding of god as a power of confusion on the poet. The enemies and the poets understanding of god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thus result in existential crisis. However, in the desperately dangerous situation the poet finds a new understanding of god beyond the traditional one through the entreaty of the enemies. This is the faith in monotheism with the poets ‘past-god-experience’ as a basic foundation. In psalm chapter 4 the poets ‘past-god-experience’ is the protection of god when the poet was in the middle of menace. The experience of god in psalm chapter 4 is the overall summery part as well as the key point part. The poet doesn’t look for a different god everytime he encounters trouble in the process of life, but he is constantly lead to his only god who he experienced in the past. When the poets faith in monotheism is in its peak of suffering, he not only keeps his faith but also extends the understanding of god. In addition, through the poets entreaty he gets to understand monotheism, which is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theodicy. He has an answer to the problem of the theodicy which appeared in the dispute with his enemies. Like god has saved him in the past from his crisis and showed him his presence, he now confesses the presence of god. The god who redeems the sufferer is a god of justice.

한국어

개인 탄원시 4편의 삶의 자리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하나님 이해에 관한 논쟁의 상황이다. 본문에 등장하는 시인의 원수들은 “사람의 아들들”과 “많은 사람들”이다. 이들은 고난과 관련하여 시인과 서로 다른 하나님 이해를 가진 자들로 논쟁의 대상이다. 이들은 인간 상호 관계를 설정하는 실제성을 나타내지만 동시에 이들의 하나님 이해는 시인에게 혼돈의 힘으로 작용한다. 이는 시인의 하나님 이해와 관련하여 실존적 위기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인은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원수-탄원을 통하여 전통적인 이해를 넘어 새로운 하나님 이해를 찾아가고 있다. 이것은 시인의 ‘과거 하나님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유일신 신앙이다(2-6절). 시편 4편 시인의 ‘과거 하나님 경험’은 위협가운데 있는 시인을 보호 하나님 경험이다(2절) 시인의 하나님 경험은 본문 전체의 개요 부분이면서 동시에 핵심 부분이다. 삶의 과정 속에서 반복되는 고난을 만날 때마다 시인의 행위는 다른 신을 찾는 것이 아니라 변함없이 자신이 과거에 경험한 자신의 하나님, 야웨에게로 향한 탄원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시인의 유일신 신앙은 고난의 절정 속에서 자신의 신앙을 지키게 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 이해를 확장시킨다. 더불어 시인은 유일신 이해를 통해서 고난의 현장에서 필연적으로 등장하는 신정론의 문제를 다루기 위한 제반을 다지고 있다. 그는 원수들과의 논쟁 속에 신정론에 답을 제시하고 있다. 과거 그의 하나님 야웨가 위기 속에 있는 그를 구원하심으로(2절), ‘하나님 임재’을 보여주신 것처럼, 지금 그는 곧 임재하실 야웨에 대한 절대적 신앙을 고백하고 있다(8-9절). 고난가운데에 있는 자에게 구원을 베푸시는 야웨에 대한 신앙고백은 공의의 하나님 고백과 동일하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시편 4편의 나타나는 원수
  1) “??????”(베네 이쉬/사람의 아들들)의 기능(3절)
  2) “????? ”(라빔/많은 사람들)의 기능(7절)
 3. 시편 4편에 나타나는 하나님 이해 : 유일신개념과 신정론
  1) “인간의 아들들”의 하나님 이해와 시인의 유일신 개념
  2) “많은 사람들”의 하나님 이해와 시인의 신정론
 4. 나가는 말
 5.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일례 Il-rye Lee. 서울신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