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진동적용이 견관절 유착성관절낭염 환자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the Range of Motion of Joint with Vibratory Stimulation of the Patients of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최우혁, 이진환, 민동기, 최정희, 신소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increase of range of motion of shoulder joint in the patients with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by applying the vibratory stimulation. In terms of subjects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15(4 male, 11 female)and the control group 15(5 male, 10 female) were divided. The measurement of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was taken by measuring the degrees of flexion,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with a goniometer from pre treatment to one to four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flexion,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during four weeks. In summary, the vibratory stimulation ar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range of motion of shoulder joi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견관절 유착성관절낭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동자극 적용이 견관절 가동범위 증가에 미치는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관절가동 범위 제한을 가지고 있는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를 대상으로 무 작위로 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명을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각 운동군은 주3회 4주간 실시하였고, 각도계를 사용하 여 견관절 굴곡, 외전, 외회전을 측정 하였다.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4주 동안 어깨 굴곡, 외전 및 외부 회전 운동 범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진동 자극 적용은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가동범위를 개선하기 위 한 효과적인 중재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장비
 Ⅲ.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치료 기간에 따른 견관절 가동 범위의 변화
  3.3 관절가동범위에 대한 사후 검정
  3.4 기간에 따른 집단 간 관절가동범위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우혁 Choi Woohyuk. 정회원, 제일연합정형외과의원
  • 이진환 Lee Jinhwan. 정회원, 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민동기 Min Dongki. 정회원, 현대연합의원
  • 최정희 Choi Junhhee. 정회원, 경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신소홍 Shin Sohong. 정회원, 경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