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근대공간의 장소성과 기억에 관한 연구 <서울역>, <온양민속 박물관>, <옥포조선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Placeness and Memory of Modern Space With Focus on <Seoul Station>, <Onyang Folk Museum>, <Okpo Shipyard>

배윤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istory of modernization of Korea is divided into two folds of the colonial era in the 20’s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in the 60’s. Most of the spaces buil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ere public spaces developed by the drive of the government. These spaces of modernization are functionality-oriented public places of production and at the same time, and they are the spaces of national power to symbolize the identity of national authorities. Along with changes in the society, modern spaces were reduced down to monument buildings without functionality and this requires new definition to renew the identity of modern spaces. Small stations, power plants, mines, warehouses, abandoned factories, and etc... the study has paid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hanging thought,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the relations of modern concepts projected in the spaces, framework of modern society, and placeness in the process of framework building and relations of people in the spaces with video records on the process of rebuilding new identity of modern spaces and memories of the spaces. The relations of modern spaces and memory were explored in < Seoul Station > while the relations between modern spaces and records and place identity were explored in and < Okpo Shipyard>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 between space identity and memory in each space, the ironic relations of power in modern spaces (placeness) and personal narrative (memories) were explored with oral narrative and video footage.

한국어

한국의 근대화 시기는 1920년대 식민지 시기와 1960년대 경제개발시기 두 시기 나누어진다. 근대화시기에 만들어진 공간들은 대다수 국가주도형으로 생산된 공공의 공간들이다. 이러한 근대공간들은 기능성이 강조되는 공공 생산의 장소이자 근대 국가시스템의 장소정체성을 상징하는 국가권력 공간들 이었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근대공간 들은 이제 더 이상 장소적 기능을 상실한 채 모뉴멘트 건축물로 존재하며 과거의 장소정체성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 할 개념규정이 필요한 시기이다. 간이역, 발전소, 탄광, 물류창고, 폐 공장 등... 근대공간에 새로운 장소정체성이 확 립되는 과정과 장소와 기억의 문제를 영상기록 하여 근대화의 큰 특징인 사고의 변화과정과 공간에 투영된 근대적 개념들, 근대사회의 제도, 체계 수립 과정에서 장소성, 공간 속 사람들의 관계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근대공간과 기 억의 관계는 < 서울역 >에서 , 근대공간과 근대 기록의 관계는 <온양민속박물관>에서, 근대공간과 장소정체성은 <옥포 조선소>에서 찾아본다. 각 장소의 정체성과 기억의 관계는 구술목소리와 영상기록을 통하여 근대공간(장소성)과 개인구술(기억)의 모순된 힘의 관계를 알아본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공간과 기억
  2.1. 공간의 기록성
  2.2. 기억의 장소성
 Ⅲ. 사례연구
  3-1. 서울역
  3-2. 온양민속박물관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배윤호 Yoonho Bae. 정회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