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호림박물관 소장의 초주갑인자본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에 관한 서지적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Hyangsansamchebeop Owned by Horim Museum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will conduct a bibliographic study of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Hyangsansamchebeop owned by Horim Museum by reviewing in the order of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its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comparison of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created around the 27th year of Sejong’s reign(1445) with the First Supplement Cast of Gapinja Type produced around the 10th year of Jungjong’s reign(1515). Hyangsansamchebeop owned by Horim Museum with seven pages missing (Chapter 1-5 front, rear section Chapter 41-42) is the only First Cast of Gapinja Type created around the 27th year of Sejong’s reign(1445). This edition has become jeobon of the First Supplement Cast of Gapinja Type produced around the 10th year of Jungjong’s reign(1515). The copy owned by Hosa Archives in Japan republished in the 20th year of Myeongjong’s reign(1565). Taken together bibliographic feature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and the First Supplement Cast of Gapinja Type by extracting 10 kinds of type, First,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and the worn type of the Supplement Cast of Gapinja,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are soft, graceful, and valanced as a whole. In contrast, the worn type of the First Supplement Cast of Gapinja have been thinner type for seventy years as a whole, the crossing portions of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are badly worn and off balanced, and the drawing strokes from side to side are no the aesthetic balance that seemed to intersect. Second, compare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with the new molded cast type of the Supplement Cast of Gapinja Type, in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Scripts are refined, waves proved to be simple, and connection of handwriting are invisible. while in the new molded type, scripts are even more refined and well-balanced, the beginning of the letter and its drawing strokes are beautiful, waves proved to be very flexible and elegant, and in some scripts appears as it is connected to the flow of handwriting. Third, compare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with the new wooden type of the Supplement Cast of Gapinja Type, in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Scripts are refined, In contrast, the wooden supplement types tend to have inconsistent thickness and size. the carvings are rough, Knife incisions show clearly when magnified. scripts are exceptionally large and stiff and some scripts proved to be balanced. The letters are distorted, and the part of the horizontal strokes are broken, and most of the letters are awkward. A comparison done of the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of Hyangsansamchebeop (Model A), created around the 27th year of Sejong’s reign(1445), with the First Supplement Cast of Gapinja Type produced around the 10th year of Jungjong’s reign(1515)(Model B) yielded the following 6 kinds of results. Most cases of Model A are right. sometimes the popular form of a Chinese character and the same meaning letters of different characters a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most fundamental research in bibliography, typology-related fields, and Korean classics.

한국어

이 글은 호림박물관 소장의 초주갑인자본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에 관한 서지적 연구를 진행하 기 위해, 초주갑인자본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의 편찬과 간행, 서지적 특징, 세종 27년(1445)경 초주 갑인자본과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과의 비교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호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향산삼체법』은 낙장(앞부분 1-5장, 뒷부분 41장-42장)이 있지만 세종 27년(1445)경에 간행된 초주갑인자본이다. 이 판본은 이후 중종 10년(1515)경에 간행된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의 저본 이 되었고, 일본 봉좌문고에 소장된 명종 20년(1563)경본은 중종 10년(1515)경 간행본을 저본으로 하여 번각되었다. 세종 27년(1445)경의 초주갑인자와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의 활자를 10종씩 추출하여 판본간의 비교를 통한 서지적 특징을 종합하면, 첫째, 초주갑인자와 초주갑인자혼입보 자본의 마멸된 활자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초주갑인자 활자는 전체적으로 해정한 필법의 글씨가 부드럽고 균정미가 있다. 이에 비해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 활자들은 전체적으로 가늘어졌고, 종획과 횡획이 교차하는 부분은 심하게 마멸되거나 균형미를 잃었으며, 좌우의 삐침 획들도 교차하듯 어우러지는 미적 균형이 없다. 둘째, 초주갑인자 활자와 초주갑인자 보주 활자는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였다. 초주갑인자 활자는 해정하고 균정미가 있고, 파임이 단순하며, 필체의 연결 은 보이지 않았다. 이에 비해 초주갑인자 보주 활자는 훨씬 더 해정하고, 기필과 삐침이 매우 유려(流麗) 하고, 파임은 유연하고 부드러우며, 그리고 어떤 글자에서는 필체의 흐름이 다음 글자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있다. 셋째, 초주갑인자와 목활자 보자 사이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초주갑인 자 활자들은 활자가 해정하고 정연하다. 이에 비해 보주 목활자는 글자의 크기와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새김이 거칠고 확대하여 보면 칼자국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글자체가 유난히 크고 뻣뻣하며 그중에 자체가 균형이 잡혀 있는 것도 있다. 글자체가 일그러져 있고, 횡획의 일부가 끊겨 있기도 하며, 대부분 의 글자체가 매우 어색하다. 세종 27년(1445)경의 초주갑인자본 『향산삼체법』 A본과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B본으로 하여 비교한 결과 6가지 사례를 추출하였다. 대부분 초주갑인자본의 사례가 옳았고, 통용자가 쓰이거나 속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서지학분야, 활자 관련분야, 한문학분야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초주갑인자본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의 편찬과 간행
 3. 초주갑인자본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의 서지적 특징
 4. 세종 27년(1445)경 초주갑인자본과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과의 교감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Ae.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지식정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