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여성장관의 임용과정과 역할유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Female Ministers in Korea : With the Focus on Appointments and Roles

하영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strove to explore the issues of appointments of and roles played by female ministers in the Korean history. This research, on a parallel track, also carried out empirical analysi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actual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questions of 'why are there only a small number of female ministers in Korea?', and 'what are the potential plans for improvement?' First, this research analyzed how female ministers in Korea have been appointed, and interviewed 14 previous female ministers based on their expertise in policies, symbolic representation, political assets and political compensations. One can categorize them based on reasons or standards for their appointments as follows: (a) Gyung-nam Paik, Jae-hee Jeon, Geum-rae Kim, Yoon-deok Kim as those who were appointed based on their expertise in policies; (b) Jeong-rae Kim, Myung-ja Kim, Jang-sook Kim as those who were appointed based on their political assets; and (c) Yeon-sook Lee, Gi-won Kang, Myung-sook Han as those who were appointed based on their symbolic representations. (d) Do-yoon Byun, Soo-hee Jin, as those who were appointed based on their conpensation in policies. Second, as discussed in the theoretical part, this research categorized types of Korean female ministers' roles based on their major activities. Yeun-sook Lee, Geum-rae Kim, Jae-hee Jeon, Do-yoon Byun, Gyung-nam Paik and Jang-sook Kim fall under the category of the type of policy planning and selective roles; Soo-hee Jin, Myung-ja Kim and Yoon-deok Kim belo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 management; Jeong-rae Kim and Myung-sook Han can be categorized as the type of public relations. Based on analysis of their various activities, 6 out of 7 female ministers who were appointed based on their policy expertise appear to be the type of policy planning and selective roles. Although three ministers who belong to the political asset category did not have expertise in their respective bureau, they demonstrated potential skills. The 4 ministers who were appointed for their symbolic representations also engaged in dynamic activities during their incumbency.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역대 여성장관의 임용과 역할에 관해 고찰해 보았으며, 문헌분석과 직접 인터뷰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초대부터 현재까지 여성장관은 총40명이며, 시간적 환경적 제한으로 14명의 여성장관들을 개별 인터뷰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 여성장관의 임용의 동기나 기준을 4가지의 기준으로 구분해보았다. ‘정책전문성’의 범주에 임명된 장관들은 백경남, 전재희, 김금래, 김윤덕, 윤진숙 등 5명이며, ‘정치적 자산’ 범주에 임명된 사람은 김정례, 김명자, 한명숙(환경부), 김장숙 4명이다. ‘상징적 대표’로 임명되었던 장관은 이연숙, 강기원, 한명숙(여성부) 등 3명이며 정치적 보상으로는 변도윤, 진수희 2명의 장관을 들 수 있다. 둘째, 여성장관의 활동과 역할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보았다. 정책설계 및 선택역할 유형에는 이연숙, 김금례, 전재희, 변도윤, 백경남, 김장숙, 한명숙 장관이, 조직관리 역할유형에는 김명자, 진수희, 김윤덕 장관이, 그리고 대외관계 역할유형에는 김정례, 한명숙(환경부), 강기원 장관이 그 범주에 속한다고 하겠다. 이들의 다양한 활동들을 고찰해보면 임용시에 그 부처에 전문성이 없이 임용되었으나 오히려 잠재적 기능을 발휘하였다. 예컨대, 보건복지부의 김정례 장관은 대외관계역할에서, 환경부의 김명자 장관은 구성원들의 조직관리 측면에서 높이 평가되었다. 반면에, 윤진숙 해수부 장관의 경우 전문성을 인정받아 임용되었으나 소극적 역할유형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여성장관의 임용과정 중 직전경력 배경은 중요하였다. 즉 여성계 활동경력, 정치적 경륜, 전문위원의 경력, 후보의 선거캠프 활동들이 여성장관으로의 입각에 도움이 되었다고 한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III. 역대 여성장관의 재임기간과 배경 분석
  1. 여성장관의 현황과 재임기간
  2. 여성장관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IV. 여성장관의 임용과정과 역할유형
  1. 여성장관의 임용과정과 직전경력배경
  2. 여성장관의 주요활동과 역할유형
 V. 결론
 참고문헌
 <한국 역대 여성장관에 관한> 설문서

저자정보

  • 하영애 Ha, Young-Ae.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