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화투를 통해 본 日本古典詩歌에 관한 고찰 - 万葉集 및 八代集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Japanese Classical Poetries through 「Japanese Playing Cards with 12 Flower Suits」 - Aground Manyosyu and Hachidaisyu -

화투를 통해 본 일본고전시가에 관한 고찰 - 만엽집 및 팔대집을 중심으로 -

안수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 search focalizes upon analysis of the flowers in the card from in the oldest collection of poems Manyoshu, in the first anthology compiled by Imperial command, Kohnshu(913) and to the same 8th anthology, Sinkolunshu(1205). As mentioned above and judging from this thesis among the natural materials, [kachohugetsu], that stands for animal circle in Japanese Classical Poem. It can search for nature that they express delicately traditional view of this flower card can be regulated as follows.
One of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Four-season- song] in Sandaishu, compared with those season songs in Manyoshu which Mental image distinguished human being from the natural materials respectively. In [Four-Season-song], the passage of time is especially remarkable. It cannot be separated the natural materials apart the concepts. I found that every essential part had been connected systematically. Flower Card is also applicable to animal circle in the natural materials. It is true that it's so important not only nature but also mental image. So to speak, human being makes us feel artistic value and image of human life. Especially I found that Sinkokinshu had implication and moderation in the Japanese Classical poems.

한국어

화투에 나타난 1월부터 12월까지의 월별로 설정되어 있는 자연경물을 통해본 일본인의 자연관을 일본고전시가를 통해 살펴보면서, 1차적으로는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자연관의 상이점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먼저 주요 텍스트인 万葉集, 八代集을 통하여 나타난 寫實→ 譬喩→ 象徵의 順序로 내세우고 있다. 万葉集의 率直, 淡白 에서, 古今和歌集의 作者들의 이지적 창작태도와 귀족적인 취향 속에서 간접적인 비유의 형태로 표현하고 있으며 또 新古今集에서 보다 더 象徵的으로 詩想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화투에 나타난 四季的 意識은 万葉集, 古今集 이후의 春夏秋冬을 통한 天象과 地象의 각 계절에 알맞은 총체적 자연현상과 인간과의 결합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中에서도 일본고전시가에서 다루어지는 화투의 제 양상을 詩人에 가탁하여 그 詩想을 전개시키고자 한다. 각 景物에는 어떤 용례를 보이며 어떠한 이미지로 인식되어 가는지 또 그러한 이미지의 시간적 推移를 겪어 온 일본인의 心象의 변화를 통한 전통적 자연관을 구체적으로 제시 한다.

목차

I. 서
  1. 화투의 유래와 명칭
  2. 연구목적
 II. 본
  1. 소나무와 학(1월)
  2. 매화나무와 꾀꼬리(2월)
  3. 벚꽃과 장막(3월)
  4. 등꽃과 두견새(4월)
  5. 창포와 야츠하시(5월)
  6. 모란과 나비(6월)
  7. 싸리와 멧돼지(7월)
  8. 참억새와 달(8월)
  9. 국화와 술잔(9월)
  10. 단풍과 사슴(10월)
  11. 버드나무와 오노노미치카제(11월)
  12. 오동나무에 봉황(12월)
 III. 결
 참고문헌

저자정보

  • 안수현 An soo hyun. 부산외국어대학교 아시아지역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