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Balance of Military Power in East Asia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초록
영어
Recently, the instability of security in East Asia has become more serious. Except for the United States, which is faced with the task of economic recovery, and is not currently embroiled in a war, countries in the region are increasing their defense budget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The current ratio of their defense budget to GDP suggests that they will increase their defense spending on a mid-term basis. The amount of weapons imports, particularly by China and South Korea, is also increasing steadily. Nevertheless, the United States maintains overwhelming military power in the region in terms of strategic attack capability. Recently, however, China has sought to enhance its military operational capability in the region and Russia is taking similar action. Negative diagnoses have been made of this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tic theories like balance of power theory, power transition theory, offensive realism, and defensive realism. If countries in the region pursue realpolitik strategies based only on a vague expectation of deterrent effects, as indicated by the war stage model, the instability of East Asia will deteriorate further and the long-term prospects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darken.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country needs to adopt a policy of middle-power diplomacy to produce public goods for peace from a perspective of collaborative security.
한국어
최근 동아시아 안보의 불안정성이 증대되고 있다. 우선 종전과 경기회복이라는 과제에 직면한 미국을 제외한 동아시아 각국의 국방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각국이 장기적 전망과 계획에 따라 국방비를 증가시키고 있다는 점을 보 여준다. 또한 각국의 GDP 대비 국방비 비중 현황은 이들 국가가 중기적으로 더 많은 국방비를 투여할 가능성을 예견하게 한다. 중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국가의 무기 대외수입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전략적 공격 능력의 차원에서 미국은 압도적인 전력을 구축하고 있지만, 중국은 최근 꾸준히 전략 작전 능력을 신장시키고 있고 러시아도 이에 동참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세력균형론, 세력전이론, 공격현실주의, 방어현실주의 등 현실주의이론의 관점에서의 진단은 부정적 이다. 아울러 전쟁단계모델에서 지적하는 것처럼 각국이 억지 효과에 대한 막연한 기대로 현실정치(realpolitik)의 전략만을 추구한다면 동아시아의 불안정성은 더욱 증대되어 한반도 평화의 장기적 전망을 어둡게 할 것이다. 따라서 협력 안보의 시 각에서 평화를 위한 공공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국이 중견국 외교를 수행할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 보인다.
목차
2. 동아시아 군사력 균형과 각국의 동향
가. 최근 동아시아 국방비의 추이
나. 최근 동아시아 무기 수출입 동향
다. 병력 및 주요 무기체계 현황
3. 동아시아 군사력 균형에 대한 이론적 논의
가. 세력균형이론과 동맹의 안보딜레마
나. 세력전이이론과 동아시아 군사력 균형
다. 공격현실주의와 방어현실주의, 억지와 군비경쟁
4. 나오는 말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