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진핑 시기 중국 외교와 북중 관계

원문정보

China s Diplomacy and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under the Leadership of Xi Jinping

김흥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ina’s diplomacy is currently undergoing a paradigm shift. It is important to note the shift in the country’s sense of its identity from the world’s largest developing country to a power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r from a continental country to a continental-marine country. Armed with this new sense of identity, China is implementing a new strategy concerning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erspective of normal inter-country relations. China has reappraised the level of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y and adopted a new attitude concerning its negative impact, and has consequently expressed a stronger than ever commitment to non-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maintain its current strategy of alliance with the US and reconciliation with China, while considering a more nuanced strategy of alliance with the U.S. and collaboration with China.

한국어

중국 외교에는 현재 패러다임 변화에 준하는 거대한 변화가 진행 중으로, 중국의 자아정체성이 변화하고 있다. 즉,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개발도상국’이라기보다는 ‘발전 중인 강대국’, ‘대륙국가’라기보다는 ‘대륙 – 해양국가’로 스스 로의 정체성을 재정의하고 있다. 새로운 정체성을 지닌 중국은 정상적인 국가관계의 관점에서 새롭게 대한반도 전략 을 구성하는 중이다. 중국은 북한의 핵무장 수준에 대하여 재평가하는 한편, 핵무장이 가져오는 부정적 결과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여 한반도 비핵화의 의지가 전례 없이 강화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기존의 연미화중(聯美和中) 전략 원 칙을 유지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공동의 목표를 합의하고 공동 행동을 추구하는 ‘연미협중(聯美協中)’ 전략도 모색해 야 한다.

목차

1. 시진핑의 국가 대전략 가동과 대외정책
 2.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진화
  가.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나. 북중 관계
 3. 총론: 한국의 대응
  가. 21세기 새로운 한중 관계의 구성
  나. 정책 방향:‘연미협중(聯美協中)’전략의 추진
  다. 중국과 적극적으로 눈높이를 맞추어 도전을 기회로 전환
  라. 중국의 핵심이익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 신중한 접근 필요
  마. 북한 문제 주도권 확보는 대중 레버리지를 강화하나,현 단계에서는 국제공조가 우선시되어야 함

저자정보

  • 김흥규 KIM Heung-kyu. 아주대학교 중국정책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